[스타의 건강]

가수 겸 배우 조유리(23)가 맡은 배역을 위해 몸무게를 41kg으로 감량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스포츠 조선, 뉴스1 등 다수의 매체와 인터뷰를 진행한 조유리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2’ 촬영 비하인드를 공개했다. 조유리는 “임신부 준희 역할을 맡았다”며 “행복하게 충분히 먹고 싶은 것을 먹으면서 살아온 삶이 아니라고 생각해 건강하지 않을 것 같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비활동기에 45~47kg까지 나가는 데 41~42kg까지 뺐다”고 말했다. 한편 조유리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조유리 JO YURI’에서 “중요한 촬영 전에는 꼭 식단 조절을 한다”며 “양을 줄여 적게 먹으려고 한다”고 밝힌 바가 있다. 또한 브이로그 영상에서 하루 동안 젤리 한 봉지를 나눠 먹으며 소식하는 모습을 공개한 바 있다. 조유리의 식단 조절 방법인 ‘소식’에 대해 알아본다.
소식(적게 먹기)할 때는 섭취 열량의 20~30%를 줄이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열량을 계산해서 먹는 게 가장 좋지만, 계산이 어렵다면 평소에 먹던 두 끼 양을 세 끼로 나눠 먹으면 된다. 40대 남성의 하루 권장 열량은 2300~2500kcal, 40대 여성의 권장 열량은 1900~2000kcal다. 이 중 70~80%를 계산해서 먹는 게 가장 좋지만, 간단하게 소식을 실천할 수도 있다. 평소 두 끼에 먹던 양을 세 끼에 나눠 먹는 것이다. 이때 반찬보다 밥의 양을 줄여야 영양소 손실 없이 섭취 열량을 낮출 수 있다. 고기나 채소 반찬은 평소 먹는 양만큼 먹어야 비타민·칼슘 같은 필수영양소를 부족하지 않게 채울 수 있다. 밀가루나 쌀밥 등 영양소가 비교적 적은 식품을 줄여야 한다. 음식을 20분 이상 천천히 먹어야 소식에 유리하다. 무언가 먹었을 때 배부르다고 느끼는 이유는 뇌의 포만감 중추가 자극되기 때문인데, 뇌의 포만감 중추는 음식을 먹고 20분 정도 지나야 자극이 시작된다. 숟가락 대신 젓가락으로만 식사해도 천천히 먹을 수 있다. 소식을 시작할 때는 4~6주에 걸쳐 천천히 양을 줄여야 한다. 갑자기 몸에 들어오는 열량이 적어지면 근육량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성장기 청소년과 70대 이상 노인도 소식을 피하는 게 좋다. 유아·청소년기는 뼈와 장기가 자라는 시기이므로 풍부한 영양 섭취를 통해 성장 에너지를 확보해야 한다. 소식 등으로 인해 음식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키가 크지 않거나 뼈가 약해져 골다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에너지가 부족해 몸속 면역체계가 써야 할 영양소까지 쓰게 되면, 면역력까지 약해져 각종 감염병에 걸리기 쉽다. 70대 이상 노인도 마찬가지다. 나이가 들면 대사기능이 떨어져 음식물을 많이 섭취해도 몸이 영양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크게 줄어든다. 중년층과 같은 양을 먹어도 에너지로 쓸 수 있는 양이 적은 것이다. 따라서 노인은 소식을 삼가고 영양소를 골고루 먹어 에너지를 공급하는 게 더 중요하다.
지난 9일 스포츠 조선, 뉴스1 등 다수의 매체와 인터뷰를 진행한 조유리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2’ 촬영 비하인드를 공개했다. 조유리는 “임신부 준희 역할을 맡았다”며 “행복하게 충분히 먹고 싶은 것을 먹으면서 살아온 삶이 아니라고 생각해 건강하지 않을 것 같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비활동기에 45~47kg까지 나가는 데 41~42kg까지 뺐다”고 말했다. 한편 조유리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조유리 JO YURI’에서 “중요한 촬영 전에는 꼭 식단 조절을 한다”며 “양을 줄여 적게 먹으려고 한다”고 밝힌 바가 있다. 또한 브이로그 영상에서 하루 동안 젤리 한 봉지를 나눠 먹으며 소식하는 모습을 공개한 바 있다. 조유리의 식단 조절 방법인 ‘소식’에 대해 알아본다.
소식(적게 먹기)할 때는 섭취 열량의 20~30%를 줄이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열량을 계산해서 먹는 게 가장 좋지만, 계산이 어렵다면 평소에 먹던 두 끼 양을 세 끼로 나눠 먹으면 된다. 40대 남성의 하루 권장 열량은 2300~2500kcal, 40대 여성의 권장 열량은 1900~2000kcal다. 이 중 70~80%를 계산해서 먹는 게 가장 좋지만, 간단하게 소식을 실천할 수도 있다. 평소 두 끼에 먹던 양을 세 끼에 나눠 먹는 것이다. 이때 반찬보다 밥의 양을 줄여야 영양소 손실 없이 섭취 열량을 낮출 수 있다. 고기나 채소 반찬은 평소 먹는 양만큼 먹어야 비타민·칼슘 같은 필수영양소를 부족하지 않게 채울 수 있다. 밀가루나 쌀밥 등 영양소가 비교적 적은 식품을 줄여야 한다. 음식을 20분 이상 천천히 먹어야 소식에 유리하다. 무언가 먹었을 때 배부르다고 느끼는 이유는 뇌의 포만감 중추가 자극되기 때문인데, 뇌의 포만감 중추는 음식을 먹고 20분 정도 지나야 자극이 시작된다. 숟가락 대신 젓가락으로만 식사해도 천천히 먹을 수 있다. 소식을 시작할 때는 4~6주에 걸쳐 천천히 양을 줄여야 한다. 갑자기 몸에 들어오는 열량이 적어지면 근육량이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성장기 청소년과 70대 이상 노인도 소식을 피하는 게 좋다. 유아·청소년기는 뼈와 장기가 자라는 시기이므로 풍부한 영양 섭취를 통해 성장 에너지를 확보해야 한다. 소식 등으로 인해 음식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키가 크지 않거나 뼈가 약해져 골다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에너지가 부족해 몸속 면역체계가 써야 할 영양소까지 쓰게 되면, 면역력까지 약해져 각종 감염병에 걸리기 쉽다. 70대 이상 노인도 마찬가지다. 나이가 들면 대사기능이 떨어져 음식물을 많이 섭취해도 몸이 영양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크게 줄어든다. 중년층과 같은 양을 먹어도 에너지로 쓸 수 있는 양이 적은 것이다. 따라서 노인은 소식을 삼가고 영양소를 골고루 먹어 에너지를 공급하는 게 더 중요하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