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승인 유전자변형 주키니 호박을 원료로 만든 가공식품이 9가지 더 발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가공식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9개 제품에서 미승인 주키니 호박 유전자가 추가로 검출됐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이번에 검출된 제품은 ▲오뚜기가 제조·유통한 '오즈키친 닭칼국수'(유통기한 2023년 8월 23일) ▲초원식품이 제조한 '빈트 비건된장찌개'(유통기한 2023년 5월 30일) ▲더빱이 제조한 '페이보잇 한끼 덮밥소스 직화 간짜장'(소비기한 2023년 2월 13일) ▲현대그린푸드가 제조한 '건강한짜장소스'(유통기한 2024년 2월 16일) ▲'단호박콩크림리소토&뽀모도로치킨'(유통기한 2023년 12월 4일, 18일) ▲프레시지가 제조한 '듬뿍담은 매운새우탕수제비'(소비기한 2023년 9월 30일) ▲현대그린푸드가 제조한 '매콤라타투이뇨끼'(유통기한 2023년 12월 18일) ▲한우물이 제조한 '소불고기볶음밥'(유통기한 2024년 3월 1일)이다.
이 제품들은 소비자가 구매하려고 하면 계산대에서 바코드를 인식했을 때 판매가 차단되는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통해 관리된다.
미승인 유전자 변형 주키니 호박은 지난달 26일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에 의해 처음 국내로 들어온 게 확인됐다. 이후 식약처에서는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가공식품을 조사 중이다. 현재 200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했으며, 이번에 발표한 9개 제품을 포함해 총 27개 제품에서 미승인 유전자변형 주키니 호박이 발견됐다. 검출된 제품은 모두 판매 차단과 회수 조치 내려졌다.
식약처는 "향후 주키니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며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된 제품에 대한 철저한 사후관리도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가공식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9개 제품에서 미승인 주키니 호박 유전자가 추가로 검출됐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이번에 검출된 제품은 ▲오뚜기가 제조·유통한 '오즈키친 닭칼국수'(유통기한 2023년 8월 23일) ▲초원식품이 제조한 '빈트 비건된장찌개'(유통기한 2023년 5월 30일) ▲더빱이 제조한 '페이보잇 한끼 덮밥소스 직화 간짜장'(소비기한 2023년 2월 13일) ▲현대그린푸드가 제조한 '건강한짜장소스'(유통기한 2024년 2월 16일) ▲'단호박콩크림리소토&뽀모도로치킨'(유통기한 2023년 12월 4일, 18일) ▲프레시지가 제조한 '듬뿍담은 매운새우탕수제비'(소비기한 2023년 9월 30일) ▲현대그린푸드가 제조한 '매콤라타투이뇨끼'(유통기한 2023년 12월 18일) ▲한우물이 제조한 '소불고기볶음밥'(유통기한 2024년 3월 1일)이다.
이 제품들은 소비자가 구매하려고 하면 계산대에서 바코드를 인식했을 때 판매가 차단되는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통해 관리된다.
미승인 유전자 변형 주키니 호박은 지난달 26일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국립종자원에 의해 처음 국내로 들어온 게 확인됐다. 이후 식약처에서는 주키니 호박을 사용한 가공식품을 조사 중이다. 현재 200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했으며, 이번에 발표한 9개 제품을 포함해 총 27개 제품에서 미승인 유전자변형 주키니 호박이 발견됐다. 검출된 제품은 모두 판매 차단과 회수 조치 내려졌다.
식약처는 "향후 주키니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며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된 제품에 대한 철저한 사후관리도 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