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 위험 줄인다는 '치유농업', 뭐길래?

농부 사진
치유농업 활동이 만성질환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농촌진흥청은 치유농업이 고혈압,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치유농업은 농업·농촌 자원 또는 관련 활동으로 국민의 신체·정서·심리·인지·사회 건강을 꾀하는 활동과 산업을 일컫는다. 최근 치유농업에 대한 관심은 점차 커지고 있지만, 치유농업이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와 순창군농업기술센터 연구팀은 생활습관성 만성질환자 14명(평균 나이 49.8세)을 대상으로 1주일에 1회(회당 4시간) 씩 총 7회에 걸쳐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프로그램은 텃밭 설계, 씨앗 심기, 모종 심기, 꽃·채소 가꾸기, 콩 수확 등 텃밭 가꾸기를 중신으로 구성했다. 이 밖에도 음식 만들기와 농장 주변 산책 등 신체 활동이 주를 이뤘다. 연구진에 따르면, 뇌파 분석에서 참여자들의 안정·이완 지표(알파파/고베타파 비율)는 42% 올랐고, 긴장·스트레스 지표(전체에서 높은 베타파 비율)는 21.7%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의 농도는 28.1% 줄었다. 만성질환의 중요한 지표인 허리둘레는 평균 2cm 가량 줄었고, 인슐린 분비 기능 지표인 HOMA-β는 47.4% 증가했다. 나쁜 콜레스테롤도 9.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생활습관성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치유농업이 건강 증진의 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치유농업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농업·농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식물의 치유 효과 발현 원리를 검증하고, 나이와 직업, 건강 상태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자원을 개발해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占싼딅뮞�놂옙占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