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서홍석·나진오·강동오 교수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19 유럽심장학회’에서 우수 포스터 연제상 2건을 수상했다.

서홍석·강동오 교수팀은 ‘관상동맥중재술 후 잔여 위험요소 평가’ 세션에서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심혈관계 질환 환자에서 근육감소증이 주요 심혈관계사건 발생에 미치는 영향’ 주제로 우수 포스터 연제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는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환자군에서 시술 전후 CT 검사를 통해 확인된 ‘골격근량 감소’가 향후 사망 및 심혈관계질환 발생에 있어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밝혀내 주목받았다.
서홍석 교수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시술 전후 CT 검사를 통해 골격근량을 계측한 결과가 실제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임을 증명했다”며 “관상동맥질환군에서 골격근량 감소를 예방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후속 연구 결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심혈관센터 나진오·강동오 교수, 뇌신경센터 김치경 교수 공동연구팀도 ‘뇌졸중: 뇌-심장 연관축’ 세션에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24시간 활동심전도로 평가한 수면 중 호흡장애가 향후 1년간의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해 우수 포스터 연제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는 24시간 활동심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 중 호흡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가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향후 1년 간의 허혈성 뇌경색의 재발 및 사망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요인임을 증명해, 뇌경색 환자에서 심전도를 이용한 수면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았다.
나진오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해 심폐결합분석법으로 평가한 수면 중 호흡 안정성이 급성 뇌경색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했다”며 “해당 검사는 급성기 뇌경색에서 시행하기 어려운 수면다원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두 포스터 연제 발표를 진행한 강동오 교수는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표한 포스터 연제에서 두 건 모두 상을 받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진료와 연구에 모두 정진하여, 학문발전과 환자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