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https://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24/12/11/2024121102322_0.jpg)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7월 식품제조·가공업소가 아닌 축사에서 비위생적으로 절임식품을 제조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정확한 위반 경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결과, A사 대표는 지난 5월 2일부터 9월 24일까지 약 5개월간 식품제조・가공업 영업 등록 없이 마늘종에 소금, 식품첨가물을 첨가해 ‘채소절임’ 15톤, 1억 7천만 원 상당을 제조한 후 식품유통업체, 재래시장 등에 2톤, 약 4천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첨가한 식품첨가물은 사카린나트륨(감미료), L-글루탐산나트륨제제(향미증진제) 등이었다.
서울에서 식품제조·가공업소를 운영하는 A사 대표는 내년에 마늘종 수급이 어려울 것을 예상하고 미리 더 많은 양의 제품을 제조해 두기 위해 평소 창고로 쓰던 경기도 모처 소재 축사 형태의 무허가 건축물을 사용해 위반제품을 제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위반 행위 모식도](https://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24/12/11/2024121102322_1.jpg)
이 과정에서 A사 대표는 해충, 설치류 등 차단 시설 없이 외부에 개방된 작업장에서 수질검사를 받지 않은 농업용수를 사용했다. 이 외에도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채석장에서 채취한 돌을 누름석으로 사용하는 등 비위생적 환경에서 위반제품을 제조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이 불법 제조·유통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빈틈없는 감독과 철저한 조사를 지속하고 국민이 안전한 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占싼딅뮞�놂옙占쏀��](https://health.chosun.com/img/2023/healthn.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