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망막병증이란 당뇨 환자에게 발생하는 망막 미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해 생기는 합병증입니다. 당뇨망막병증은 크게 비증식성 망막병증과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일단 망막의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벽이 손상을 받으면 망막이 허혈 상태에 빠지면서 부어오르는데 이것을 비증식성 망막병증이라 합니다. 비증식성 망막병증이 더 진행되면 망막에 불필요한 혈관이 새로 자라는데, 이렇게 생긴 신생혈관은 쉽게 터져서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고 이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라 합니다. 망막의 신생 혈관 옆에 섬유성 조직이 증식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렇게 되면 망막이 당겨져 구겨지면서 내벽과 분리되는 견인성 망막박리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은 혈당 관리를 철저히 해도 유병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발병 15~20년이 지나면 거의 모든 환자에게 당뇨망막병증이 생기고, 그 중 4명 중 1명은 실명 위험이 있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발전합니다.
시력 저하는 망막병증의 정도를 파악할 수가 없고 상당히 진행된 망막병증에서도 황반부종이나 유리체 출혈이 없는 경우에는 시력이 좋게 나타나고 초기에도 황반부종이 있으면 시력저하가 나타나게 됩니다. 제가 진료했던 분들 중에 상당수가 젊고 시력이 좋은데 안저검사를 해보니 당뇨망막병증이 증식성으로 진행되어 있어 당뇨를 발견한 분들도 꽤 많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치료로는 우선적으로 내과적으로 혈당 조절, 고혈압, 고지혈증 조절이 중요하고, 금연 및 금주를 해야 합니다. 안과적인 치료로는 레이저 치료, 항체 주사, 수술이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일 중요한 시신경과 황반 중심을 제외한 나머지를 레이저로 치료하는 것입니다. 이 치료는 시력의 호전을 위한 게 아니라 증식성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심각한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이상일 때 시행하며, 초기나 중등도일 때는 경과 관찰을 합니다. 당뇨황반부종의 치료로는 황반부에 누출점을 찾아 직접 응고하는 레이저 치료가 있습니다.
항체 주사는 당뇨황반부종을 치료하기 위해 하며 아바스틴, 루센티스, 아일리아 같은 주사들이 있고 또한 스테로이드 주사도 있는데 마카이드, 오저덱스 등입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안압 상승이나 백내장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어 항체 주사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보통 하게 됩니다. 또한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인해 유리체 출혈이나 증식성막이 생기게 되면 유리체절제수술을 해서 피와 증식성 막을 없애고 레이저 치료를 합니다.
당뇨망막병증은 실명 확률이 높고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정기검진이 가장 중요합니다. 1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으면 진단 후 5년 내에 꼭 검진을 시작해야 하고 2형 당뇨로 진단 받으면 진단 받은 즉시 검진하고 단계에 따라 2~3개월에서 1년마다 정기검진을 해야 합니다. 유병 기간이 5년 이하에서는 20%, 15년 이상이 되면 74%로 유병기간이 길면 아무리 당 조절을 잘한다고 하더라도 망막병증의 유병률이 올라갑니다. 혈당, 혈압, 고지혈증을 철저하게 조절하고 금연, 금주를 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검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