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2누적된 총 기사 -366,613

청소년 키 성장 '주춤' 비만은 크게 증가

우리 아이 키 크기 프로젝트 365일

하이키한의원/박승찬 원장

우리나라 청소년의 키가 20년 전과 비교할 때 중학생 기준으로 6cm 컸고, 몸무게는 10kg 정도 늘어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0학년도 조사 결과 중3 남자 평균 키는 166cm로 20년 전에 비해 6.4cm 컸다. 몸무게는 평균 10.5kg이나 늘었다.
고3 남자의 평균키는 174cm 정도 였다. 20년 동안 꾸준히 늘던 학생들 키는 최근에 주춤해진 반면에 몸무게는 크게 늘었다. 최근 3년간을 보면 평균키에 차이가 없이 키는 주춤하고 있는 반면 체중은 계속 늘고 있어 걱정을 하고 있다. 빠르게 성장해온 아이들의 키는 이제는 정체 단계지만 비만율은 최근 2, 3년 사이 크게 증가했다.
주로 인스턴트 식품 때문인데 고3 남학생의 경우 열 명 중 여섯 명은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 걸로 나타났다. 반면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 고등학생은 18%에 뿐이라고 한다.

초·중·고생 7명 중 1명이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왕국이라 불리는 미국의 소아비만율이 17%라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도 더 이상 비만에서 안전한 나라라고 하기 어려울 것 같다.
소아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영양과잉이다. 소비하는 칼로리 보다 더 많이 먹는 것을 원인이라고 하지만 그 이면엔 다른 요인도 있다. 음식에 포함이 되어 있는 각종 화학 첨가물이 더 중요한 원인보는 경향도 있다. 화학적 칼로리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아이들의 입맛을 자극하는 첨가물과 가공방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학업량이 많아지고 TV, 컴퓨터, 게임,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운동 부족이 되어 체중이 늘고 있다. 반면에 고지방, 저섬유식, 불규칙한 식사, 잦은 외식으로 섭취량은 증가하고 있다. 소아비만은 부모가 비만이면 자식의 80%, 부모 중 한쪽이 비만이면 40%,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니면 7% 정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두뇌 손상, 성장호르몬 결핍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부신피질 호르몬 과다증, 프레더-윌리 증후군, 다운 증후군과 같은 질병이 있어도 발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만은 질병이 없는 단순 비만이다.

부모가 모두 직장을 다니는 경우 아이들이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 심리학자는 부모의 공백을 먹는 것으로 채우는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왜 소아비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걸까?

첫째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80%로 매우 높다. 특히 소아비만은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진 성인비만과는 다르게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한 형태여서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경우 다이어트에 성공하거나 정상체중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 심한 경우 10대 후반 또는 20대 초반에 지방간이나 고혈압 당뇨 등의 대사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둘째 소아비만은 성조숙증의 원인이 된다. 체내에 과잉 축적된 지방은 사춘기를 빨라지게 하는데 8살 어린아이가 젖멍울이 생기고 10살에 초경을 하는 등 엄마를 놀라게 한다. 또 너무 어린 나이에 사춘기가 오면 정신연령은 어린데 신체는 성숙함에 따른 정서적인 문제와 성격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작은 키의 원인이 된다. 비만과 성조숙증으로 키가 크는 기간인 성장기가 짧아지면 초등학생 때는 큰 키였지만 중학교 때 성장이 멈춰 최종 키가 작아지게 된다. 또 과도한 체중 자체도 관절이나 성장판에 무리를 주고 이차적으로 활동량의 감소 등을 초래하여 결국 성장을 방해한다.

마지막으로 뚱뚱한 외모로 인한 열등감이나 자존감 결여로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해 사회성이 떨어지져 심하면 우울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소아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사습관을 바로 잡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줄넘기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특히 피자 치킨 등의 음식을 먹는 회수를 한 달에 한 번으로 정하고 외식 횟수를 줄이며 주말에는 엄마 아빠와 함께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키가 크는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체중감량만이 목적이 아니라 성장상태나 성조숙증 등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를 살펴 한약처방을 하게 된다. 생활습관 상담 및 운동 처방 등을 통해 체중만 줄이려는 것 보다는 키 성장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은 살 빼는 것 못지않게 성장이 중요하므로 소아비만을 치료할 때는 체중감량을 목표로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무리한 칼로리 제한은 성장에 해가 될 수 있다.

하이키한의원 성장클리닉 원장 박승만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아이 키 크기 프로젝트 365일

하이키한의원과 함께하는 건강한 키 성장의 모든것!

하이키한의원 /박승찬 원장
[하이키한의원] 박승찬 원장
대전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박사 취득
현, 대전대학교 비계내과 겸임교수
현, 하이키 네트워크 학술이사
전, 하이키한의원 대전점 대표원장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저서>
엄마! 나도 키가 크고 싶어요
한방으로 끝내는 천식 알레르기
우리아이 키크기 프로젝트 365일
멈추는 아이 vs 자라는 아이
----------------------------------------
[하이키한의원] 윤가영 원장
경희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한의학 박사 과정
경희대 한방병원 전문의 취득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진료원장
----------------------------------------
[하이키한의원] 박승만 원장
대전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박사 취득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