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미인, 만인의 연인으로 불리던 미국 여배우 엘리자베스 테일러가 사망했다고 한다. 내가 초등학교때부터 최근까지 텔레비젼에서 방영된 많은 영화에서 다양한 모습을 만났었기 때문에 무척 친한 사람이 떠난 듯한 느낌을 받았다. 많은 사람들이 이 같은 느낌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사망원인은 울혈성 심부전증이라고 한다. 울혈성 심부전증은 심장 근육이 부어서 심장에서 전신으로 피를 내보내는 펌프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 때 혈액이 심장에는 많이 고여 있으나, 전신의 필요한 기관에는 피가 충분히 가지 못하게 된다. 증상은 전신부종, 호흡곤란 등이 먼저 생기고 오래 지속되면, 간기능, 신장기능, 뇌기능이 모두 장애가 발생하면서 사망에 이르게 된다. 울혈성 심부전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심장에 문제가 있을 때와 신장이나 간 등에 문제가 있을 때로 나눌 수 있다. 울혈성 심부전증은 심한 부정맥, 심장 판막질환, 그리고 관상동맥 질환 등 모든 종류의 심장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다. 급성일 경우에는 심장의 근육은 비교적 정상이고, 심장에서 혈액이 배출되는 기능이 일시적으로 약해진 상태이므로, 원인 질환을 제거하면 정상으로 회복이 가능하다. 만성 울혈성 심부전증은 심장의 근육이 손상되어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원인 질환을 치료해도 심장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악화한다. 엘리자베스 테일러의 울혈성 심부전증은 회복이 불가능한 만성 질환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한 때 알코올 중독증으로 재활치료를 여러 차례 받은 경력이 있다. 알코올은 직접 심장근육 세포를 손상시키고, 알코올성 심근염을 발생시킨다. 알코올성 심근염은 심장 근육을 약화시키고 울혈성 심부전증의 원인이 된다.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또 심근경색증으로 수술받은 경력도 있다. 관상동맥 질환도 울혈성 심부전증의 원인이다. 관상동맥은 심장의 근육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다.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장근육에 영양소와 산소의 공급이 중단되고,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데, 이를 심근경색증이라고 한다. 심근경색증의 부위가 넓으면 울혈성 심부전증이 발생한다. 알코올은 고지혈증도 유발해서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 분의 경우, 알코올 중독증과 관상동맥 질환이 같이 울혈성 심부전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가까운 가족들을 만성 부정맥의 합병증인 울혈성 심부전증과, 알코올성 심근염에 의한 만성 울혈성 심부전증으로 잃었고, 또 한 분의 가까운 친척께서는 심장 판막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울혈성 심부전증으로 고생하는 가족사가 있고, 내가 치료해 왔던 많은 말기 신부전증 환자들이 만성 울혈성 심부전증으로 타계하는 것을 경험한 나는 새삼스럽게 만성 울혈성 심부전증의 심각성을 되새겨 본다.
만성 울혈성 심부전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증상을 완화하고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치료법은 비교적 단순하다. 1. 원인 질환 치료, 2. 식이요법: 소금과 수분 섭취 제한, 3. 심한 울혈성 심부전증이 있을 때는 육체 활동 제한, 4. 이뇨제 사용, 5. 강심제 사용, 6. 금연 등이다. 이 중 어느 한가지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으므로 담당의사와 의논하여 꼼꼼하게 치료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