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초면 항상 ‘올해는 다이어트를 해야지’ ‘금연을 해야지’ 하며 여러 계획을 세운다. 50대에 접어드는 분들에게는 골다공증 예방 계획을 세워보라고 적극 권하고 싶다.
‘소리없는 도둑’이라고도 불리는 골다공증은 고령화 사회에서 큰 사회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2014년 한국인 50세 이상 여성 10명 중 7명, 남성 10명 중 5명은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강무일, 2014)
더 심각한 것은 매년 10%씩 골다공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조선일보) 이로 인한 골절은 노인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국가 건강보험 재정에도 큰 부담이 된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007~2011년간 최대 1조165억원으로 연평균 2033억원이라고 한다.(이태진, 2013) 그런데 당뇨병 인지율 73%, 고혈압 인지율 67.9%에 비해 골다공증 인지율은 22.4%에 불과하고, 치료율은 11.1%로 매우 낮다고 한다.(정호연, 2014)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뼈가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이다. 골밀도는 건강한 젊은 성인의 골밀도와 비교한 T score로 나타낸다. 골다공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골절 위험이 2.73배 높고, 골다공증 전단계인 골감소증 환자도 골절 위험이 1,73배 높다고 한다.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의 77%가 폐경 이후 여성이므로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하다.2.
골다공증 10년 골절 예측도(FRAX: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10년내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인 FRAX는 WHO에서 개발하여 각 국가의 실정에 맞게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는 한국형 FRAX모델이 있다.

이 모델은 개인의 정보(나이, 성별, 체중, 신장, 음주, 흡연), 본인의 골절 병력, 부모님의 고관절 골절 여부, 약물 복용 여부(스테로이드 제제), 질환 여부(류마티스 관절염, 이차성 골다공증), 대퇴골 경부 골밀도를 넣으면 10년내 전체 골절 위험률, 대퇴골 경부 골절 위험률이 %로 나오도록 설계돼 있다. https://www.shef.ac.uk/FRAX/index.asp에 들어가 언어를 Korean으로 바꾸면 본인의 골절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오늘 한 번 실행해 보고 본인의 상태를 파악하여 더욱 적극적인 골절 예방을 해보자.
골다공증을 예방하려면
1.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고 칼슘 배설을 증가시키는 음식(짠 음식, 탄산음료, 과량의 카페인)은 피하도록 한다.
2. 뼈에 무게를 싣는 운동하기: 운동은 뼈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는데, 뼈는 이것을 자신을 향한 공격으로 받아들여 최대한으로 골밀도로 높이는 작업을 하여 뼈를 튼튼하게 한다.
3. 햇빛 쬐기: 실외에서 걷기, 조깅 등을 하루 30분 정도씩 지속적으로 하면 햇빛을 받아야만 생성되는 비타민D가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도와 골밀도를 높인다.
4. 과음, 흡연, 무리한 다이어트는 골밀도를 감소시키니 피하도록 한다.
5. 골절의 위험을 줄이기: 화장실과 같은 미끄러운 곳은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하고, 어두운 곳은 피하며, 외출 시에는 편한 신발을 신도록 한다.
Reference
1.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305
2. 김윤미·김정환·조동숙. 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 및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8~2011년) 활용, J Korean Acad Nurs Vol.45 No.2, 293-305
3.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18/2013101802917.html
4.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지침. 2015. 대한 골대사학회
5.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477
6. 하용찬. 골다공증역학 및 사회적 손실 비용 (Epidemiology and Economic Burden of Osteoporosi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24, No. 1, 2011
7. Edward M, Maggie Ryan, Osteoporosis: A Preventable Part of Aging. US Pharm. 2009;34(6):27-36.
https://www.uspharmacist.com/content/t/bone_disorders/c/13772/
8. 임영욱∙선두훈∙김용식. 골다공증의 병인 및 골다공증 골절의 예방. 대한고관절학회지 제21권 제1호 Vol. 21, No. 1, 2009
9. 하용찬.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in Korea. 한국 골다공증의 역학. J Korean Med Assoc. 2016 Nov;59(11):836-841. Korean.
10. 대한 골다공증학회
11. 대한 내분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