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은 학창 시절 불편했던 안경과 작별하기 위해 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계획한다. 그러나 만족스러운 시력교정수술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력교정수술 종류마다 회복 기간, 장단점 등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게 좋다. 시력교정수술은 크게 레이저를 사용하는 라식, 스마일라식, 라섹과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는 안내렌즈삽입술로 구분된다.
◇활동량 많으면 라섹, 고도근시 환자는 렌즈 삽입 고려
라식과 라섹 모두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시력을 회복하는 수술이다. 다만 각막을 얼만큼 잘라내는지와 절편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절편은 각막 중간층인 실질을 잘라서 만드는 일종의 각막뚜껑이다. 라식수술은 각막절편을 만들어 연 다음 실질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절편을 그대로 덮는다. 신경노출이 없어 통증이 적고, 수술 후 빠른 시력 회복 및 일상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외부 충격에 약하고, 각막이 너무 얇거나 고도근시가 있다면 적용하기 어렵다.
라섹은 절편을 만들지 않고 각막상피만 벗겨낸 뒤 가장 위쪽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각막신경이 노출돼 초기에 통증이 따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각막을 어느 정도 남길 수 있다. 절편을 만들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으로 절편이 틀어지거나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할 일이 없어 군인, 운동선수 등이 많이 시행한다.
스마일라식은 절편을 만들지 않고 깎아낼 각막실질 부위를 눈 안에서 잘라낸 뒤 작은 절개창으로 빼내는 방법이다. 각막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통증이나 부작용 우려가 적은 편이다. 다만 라식 및 라섹보다 비용이 더 비싸고, 수술 후 1~2주 동안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초고도근시 환자 등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이 어려운 사람들은 각막을 깎지 않는 안내렌즈삽입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렌즈삽입술은 각막 주변부를 약 3mm정도만 절개해서 인체친화적인 재질의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시력교정수술이다.
◇만족도 높이는 대원칙, 수술 전 안과 정밀검사
수술을 결정하기 전 정밀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안구의 성장은 만 19세 이전에 멈춘다. 그러나 이는 사람마다 다르다. 만약 안구성장 중에 시력교정수술을 받게 되면 효과를 예측하기도 어렵고 도수가 고정돼 시력이 오히려 퇴화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안구가 성장이 멈췄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눈 상태는 모두 달라서 세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안과에선 시력검사, 굴절검사, 안압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각막의 상태, 형태, 두께를 판단하고 근시와 난시 정도를 체크한다. 이외에도 사시검사, 시야검사, 각막이상증 검사, 망막상태를 확인하는 안저촬영 등을 통해 혹시 모를 부작용에 대비한다.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 취미, 가족력, 질환 여부까지 고려해서 자신에게 맞는 수술방법을 상담 받으면 된다.
수술 후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회복 기간을 앞당기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수술 종류와 상관없이 한 달 정도는 음주와 흡연을 삼가고 사우나 및 격렬한 운동은 자제한다. 눈을 비비거나 눈 화장 등 눈에 자극이 가해질 수 있는 행동을 피하고, 처방받은 약과 인공눈물을 제때 점안하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
김안과병원 라식센터장 황규연 전문의는 “시력교정수술은 민감한 눈에 하는 수술인 만큼 섣불리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여러 요소를 꼼꼼히 따져보고, 안정성과 효과가 검증된 병원을 선택하면 더욱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나중에 노인성 안질환 등으로 수술이 필요해질 경우를 대비해 본인이 받은 시력교정수술 기록을 보관하고 있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활동량 많으면 라섹, 고도근시 환자는 렌즈 삽입 고려
라식과 라섹 모두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시력을 회복하는 수술이다. 다만 각막을 얼만큼 잘라내는지와 절편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절편은 각막 중간층인 실질을 잘라서 만드는 일종의 각막뚜껑이다. 라식수술은 각막절편을 만들어 연 다음 실질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절편을 그대로 덮는다. 신경노출이 없어 통증이 적고, 수술 후 빠른 시력 회복 및 일상 복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외부 충격에 약하고, 각막이 너무 얇거나 고도근시가 있다면 적용하기 어렵다.
라섹은 절편을 만들지 않고 각막상피만 벗겨낸 뒤 가장 위쪽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각막신경이 노출돼 초기에 통증이 따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각막을 어느 정도 남길 수 있다. 절편을 만들지 않으므로 외부 충격으로 절편이 틀어지거나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할 일이 없어 군인, 운동선수 등이 많이 시행한다.
스마일라식은 절편을 만들지 않고 깎아낼 각막실질 부위를 눈 안에서 잘라낸 뒤 작은 절개창으로 빼내는 방법이다. 각막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통증이나 부작용 우려가 적은 편이다. 다만 라식 및 라섹보다 비용이 더 비싸고, 수술 후 1~2주 동안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초고도근시 환자 등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이 어려운 사람들은 각막을 깎지 않는 안내렌즈삽입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렌즈삽입술은 각막 주변부를 약 3mm정도만 절개해서 인체친화적인 재질의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시력교정수술이다.
◇만족도 높이는 대원칙, 수술 전 안과 정밀검사
수술을 결정하기 전 정밀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안구의 성장은 만 19세 이전에 멈춘다. 그러나 이는 사람마다 다르다. 만약 안구성장 중에 시력교정수술을 받게 되면 효과를 예측하기도 어렵고 도수가 고정돼 시력이 오히려 퇴화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안구가 성장이 멈췄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눈 상태는 모두 달라서 세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안과에선 시력검사, 굴절검사, 안압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각막의 상태, 형태, 두께를 판단하고 근시와 난시 정도를 체크한다. 이외에도 사시검사, 시야검사, 각막이상증 검사, 망막상태를 확인하는 안저촬영 등을 통해 혹시 모를 부작용에 대비한다.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 취미, 가족력, 질환 여부까지 고려해서 자신에게 맞는 수술방법을 상담 받으면 된다.
수술 후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회복 기간을 앞당기기 위한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수술 종류와 상관없이 한 달 정도는 음주와 흡연을 삼가고 사우나 및 격렬한 운동은 자제한다. 눈을 비비거나 눈 화장 등 눈에 자극이 가해질 수 있는 행동을 피하고, 처방받은 약과 인공눈물을 제때 점안하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
김안과병원 라식센터장 황규연 전문의는 “시력교정수술은 민감한 눈에 하는 수술인 만큼 섣불리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여러 요소를 꼼꼼히 따져보고, 안정성과 효과가 검증된 병원을 선택하면 더욱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나중에 노인성 안질환 등으로 수술이 필요해질 경우를 대비해 본인이 받은 시력교정수술 기록을 보관하고 있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