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81누적된 총 기사 -365,208

“나이 들어 생기는 치매일수록 혈관 관리 중요”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공동연구팀 발표“만발성 치매, 조발성 치매에 비해 혈관위험인자 기여도 높아”

언론사

입력 : 2024.10.15 13:41

출처:의사신문
출처:의사신문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병한 알츠하이머 치매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혈관질환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와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 교수, 고려대 성준경 교수 공동연구팀은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 및 대뇌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인자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조발성 알츠하이머병과 만발성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단백'이라는 알츠하이머병의 병리물질의 뇌 내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에 대부분 기여했다.

반면, 65세 이후에 발병하는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단백, 아밀로이드 단백 뿐 아니라, 미세출혈, 열공경색과 같은 대뇌 소혈관 질환과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고지혈증, 뇌졸중 과거력 등 혈관위험인자의 상대적 중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특성 차이는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측정한 대뇌피질 두께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축적이 대뇌피질 두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밝혀졌다.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대뇌피질 위축에 있어서 타우 축적의 상대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반면, 열공경색과 미세출혈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밝혀졌다.

노영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알츠하이머병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기억력과 같은 인지기능과 신경세포의 퇴행을 나타내는 뇌의 피질 위축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물질뿐 아니라 혈관성 위험 인자 및 뇌의 소혈관질환 상태가 고루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며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성 위험 인자 관리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사신문 김동희 기자 ocean830@empas.com

  • * Copyright ⓒ 의사신문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의사신문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