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1누적된 총 기사 -365,834

증상 심하지 않아도 ‘이런 경우’엔 전립선비대증 수술을 고려하세요

금쪽같은 비뇨기, 챙길수록 행복해집니다

골드만 비뇨의학과의원 강남점/이민종 원장

많은 이들이 전립선비대증 때문에 약물을 복용한다. 하지만 약을 도대체 언제까지 복용해야 하는 걸까? 전립선비대증은 노화와 함께 계속 진행되므로 대부분은 평생에 걸쳐 약을 먹어야 한다. 하지만 수술적 치료를 받으면 약을 중단할 수 있다. 앞으로 수술받을 가능성이 큰 경우, 일찍 수술을 고려하는 게 나을 때가 있다. 물론 환자 입장에서는 증상이 심하지 않다고 여기거나 수술하기 두렵기 때문에 약을 먹으면서 기다렸다가 받고 싶다고 한다. 그래서 수술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여러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70세 남성 환자의 경우다. 약을 먹으면 배뇨 증상이 덜하다고 했다. 항문을 통해 경직장 전립선을 초음파로 검사한 결과 전립선 크기가 40.2g이었다. 우리나라 60대 남성 평균 전립선 크기가 20g대 후반이므로 전립선비대증에 해당한다. 요속검사를 실시했더니, 최고요속이 16.4mL/sec이었다. 일반적으로 최고요속이 15mL/sec이면 양호한 수준이기 때문에 배뇨 증상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 다만, 소변을 보는 시간이 1분가량 되었기 때문에 요로 폐색이 동반되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수술 진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로 요도 방광 내시경을 실시했다. 원래 방광점막은 구강점막과 같이 매끈해야 정상인데 확인 결과 굉장히 울퉁불퉁한 상태였다. 이것은 육주형성이 진행된 상황으로 근육층이 비대해진 것이다. 

<육주 형성이 심해진 방광 점막.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오는 것이 특징>

전립선비대증이 심해지면 비대해진 전립선을 뚫고 소변을 밀어내기 위해 방광에 굉장한 압력이 걸린다. 마치 운동을 많이 하면 근육이 발달하듯 방광도 압력이 걸리면 육주가 형성된다. 조금 더 시간이 흐르면 방광 벽이 더 두꺼워지고 방광이 저장할 수 있는 용적 자체가 적어진다. 이런 경우 수술을 일찍 받는 게 낫기 때문에 환자에게 수술을 제안했다. 그 결과 수술을 진행했고, 홀렙수술(홀뮴 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광적출술)을 통해 수술 후 요속도 25.9mL/sec을 기록하며 정상 수치를 회복하였다. 이처럼 방광 기능이 점점 악화하고 있다면 일찍 수술하는 게 좋다.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PSA(전립선특이항원) 수치가 높은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PSA 수치가 높고 매년 증가하는 경우 혹시나 전립선암일 가능성이 있어 MRI 촬영과 조직검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PSA 수치가 높은 원인이 전립선비대증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수술을 받고 나면 PSA 수치가 정상화되는 경우가 많다. 

56세 남성의 증례를 살펴보자. 실제 PSA 수치가 2017년에 14.08ng/mL, 2019년에 7.52ng/mL, 2020년에 33.39ng/mL로 변화했다. PSA 수치가 대략 3ng/mL 미만이어야 정상인 것을 감안하면 굉장히 우려되는 수치다. 이런 경우 PSA 수치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전립선 조직검사나 MRI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 환자는 3년 동안 조직검사를 3번 실시했으나 전립선암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검사는 환자 입장에서 매우 힘든 검사이다. 직접 항문을 통해서 12개가량의 조직샘플을 바늘로 채취하기 때문이다. 

이 환자의 경우, 항문을 통해 전립선을 초음파로 검사하여 전립선 크기를 쟀더니 71g이 나왔다. 정상 전립선 크기가 15~20g인 것을 감안하면 절대 작지 않은 크기다. 반면에 환자는 배뇨 증상이 심하지 않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전문의 입장에선 PSA 수치가 굉장히 높고 변화가 심한 상황에다가 전립선 크기도 작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여 수술적 치료를 권유했다. 

결과적으로 홀렙수술(홀뮴 레이저를 이용한 전립선광적출술)을 받았고 요도가 뻥 뚫리게 되었다. 실제 수술 전후 요속그래프도 정상화되었고, 무엇보다 PSA 수치도 0.39ng/mL로 정상 수준을 회복하였다. 전립선암 걱정을 던 것이다.


위의 사례들처럼 환자는 상태가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전문의가 객관적으로 검사를 해보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요즘에는 기술이 발달하여 통증도 심하지 않고, 수술도 오래 걸리지 않는 수술법이 많이 나왔으니 자세한 상담을 받아보고 치료 계획을 잡아보길 바란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금쪽같은 비뇨기, 챙길수록 행복해집니다

중장년층이 되면 필연적으로 비뇨질환을 겪게됩니다. 일상을 불편하게 만드는 비뇨기 질환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전달해 행복한 일상생활로 가는 길을 열어드립니다.

골드만 비뇨의학과의원 강남점 /이민종 원장
연세대학교 졸업
비뇨의학과 전문의
국군수도병원 비뇨기과장 역임
대한전립선학회 정회원
대한요로결석학회 정회원
대한남성과학회 정회원
대한비뇨기과학회 정회원
미국 비뇨기과학회(AUA) 정회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전임의 역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