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개학과 더불어 부모님들의 걱정이 많을 시기이다. 학교 진도는 잘 따라가는지, 새 친구들과 적응은 잘하는지 등등… 사실 그 부모님들의 부모님들이 했던 걱정과 똑같은 걱정을 반복할 수밖에 없는 게 아이들의 신학기기는 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걱정거리가 하나 더 늘었다. 특히나 맞벌이 부모가 많은 상황에서 팬데믹 이후 마스크 사용이 해제되는 추세에 유행성 질환 등에 노출되지 않을까 하는 것도 큰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다. 아이가 열감기나 장염 등에 걸린 경우, 평일에 병원에 데려가는 것도 쉽지 않고, 직장에서 일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또한 봄철에는 영유아를 키우는 부모님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수족구가 유행하기도 한다.
특히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71) 감염에 의해 발병하는 수족구는 생후 6개월에서 5세 이하의 아이들이 많이 감염되며, 침, 가래, 콧물, 대변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족구의 경우, 주로 영유아 사이에서 유행하며, 어린이 집 등에서 감염이 되는 경우에 전파속도도 매우 빠른 경향이 있으며, 아이들이 고열과 두통에 시달리거나 음식을 잘 먹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지켜보는 부모 입장에서도 매우 괴로운 질환이다. 심한 경우, 물을 마시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탈수 증상을 겪기도 한다. 비록 일주일 정도면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다고는 하나, 기본적으로 전염력이 강하고 다른 합병증 등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입안이나 손 발 등에 물집이 잡히고 열이 오르는 수족구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등원은 자제하고, 지체 없이 주변 병원에 내원해서 치료를 잘 받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수족구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행성 질환에 대해서 대처하는 방법은 대동소이하다. 기본적으로는 우리가 코로나19에 대처하면서 했던 개인위생 철저, 규칙적인 생활, 균형 잡힌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 사실 특이할 것이 없는 것들이다. 코로나19 때문에 개인위생이나 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는 하지만, 사람이란 기본적으로 다양한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에 대한 부분은 항상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적절한 실내 온도, 습도 유지 등과 같은 기본적인 것들이 함께 잘 지켜져야만, 감염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생각해 보면 다양한 바이러스성 질환 중, 인류가 백신을 보유하고 있는 것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앞으로 어떤 종류의 전염병이 유행하더라도, 우리가 가장 쉽게 할 수 있고, 가장 의지할 수 있는 대책은 여전히 개인위생일 수밖에 없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가족 건강의 A부터 Z까지!
- 손·발가락 단지증, 의외로 흔하고 스트레스 심각해
- 나잇살, ‘산화 스트레스’ 피해야 덜 생긴다
- 뼈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하지 피로골절’
- 피부에 생기는 물집… 바이러스가 숨는 곳은?
- 세포가 스트레스에 적응을 한다?
- 췌장염으로 입원했을 때, 왜 금식해야 할까?
- 우리 몸의 바이러스·세균 감염, 이런 원리로 이뤄진다
- 스트레스 지나치면 왜 실신할 수 있을까
- 스트레스로 살 찌고, 살 쪄서 스트레스 늘고… 굴레서 벗어나는 법
- 성형 후 울퉁불퉁 ‘흉살 스트레스’ 받고 있다면?
- 스트레스와 다이어트의 관련성
- 감기인줄 알았더니…노로바이러스 장염 조심
- 스트레스가 부르는 병들
- 맹장염? 게실염! 게실이 뭔가요?
- 과도한 학업스트레스 우울증에 이어 성장까지 방해
- 스트레스 받은 후 화장실 들락날락...? 과민성 대장증후군
- 심근경색증과 스트레스
- 우리 아이 왜 안 크죠?, 성장위축 바이러스…성조숙증
- 전쟁보다 무서운 독감·감기, 아이들 성장 막는 바이러스
- 천식은 기온 변화, 스트레스 등에 민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