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5,824

여드름 흉터 이야기

강진문 원장의 피부이야기

연세스타피부과/강진문 원장

좀 있으면 구정이다. 그래서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의례적인 인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 한마디로 인사 받는 분에게 감동을 전하기는 어렵다. 자주 뵙는 분이 아니라면 젊어 보인다는 인사가 덧붙여져야 진정으로 상대방에게 감동을 주게 된다. 젊어 보인다는 인사가 어른들 뿐만 아니라 요즘은 젊은 사람들에게도 효과만점이다. 요즘 사람들이 얼마나 젊어 보이고 싶은 욕구가 강한가 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요즘 동안열풍이 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많은 사람들이 동안 피부를 부러워하기 때문에 동안 피부를 소유한 사람들은 은근히 자신을 과시하며 타인의 부러운 시선을 즐기고, 자신만의 노하우를 슬쩍 내비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인터넷에서 동안 비결을 검색해보면 참으로 다양한 노하우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물론 그런 노하우가 의학적인 검증을 거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냥 참고만 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동안의 비결 하나가 있다. 동안 피부를 방해하는 가장 큰 적은 바로 여드름흉터와 모공이다. 몇 년 전 여드름흉터 환자를 진료하다가 환자의 나이를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나는 20대 중반의 남성으로 생각했는데, 진료차트에는 중학생으로 적혀있었던 것이다. 진료 차트에 환자의 생년월일이 적혀 있기 때문에 필자는 보이는 나이와 실제나이를 비교해보는 버릇이 있는데, 대게는 크게 틀리지 않는다. 그런데 여드름 흉터가 심한 경우에는 진료차트를 보기 전에는 실제 나이를 예상하기 어렵다.

여드름흉터가 심한 사람들이 나이 들어 보이는 이유는 여드름흉터로 인해 정상피부가 별로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진피 구조물들이 파괴되어 피부의 탄력도가 떨어지며, 장기간에 걸친 염증으로 색소침착이 발생하고 혈관들도 늘어나 피부의 톤도 맑지 않다. 또 피부의 질감도 매끄럽지 않고, 심하면 피부가 처져 주름도 빨리 생기게 되어 나이가 들어 보이게 된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도 여드름 흉터와 비슷하기 때문에 모공이 심한 사람도 나이 들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의 근본은 과다한 피지 분비가 원인이기 때문에 피지분비가 많아지는 사춘기 이후부터 피지 조절과 여드름 치료를 잘해야 한다.

이미 여드름 흉터가 남은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요즘 여드름 흉터 치료의 대세는 프락셀을 대표로 하는 프락셀 계통의 레이저다. 치료 원리는 아주 가는 레이저빔을 무수히 많이 피부에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조사하면 아주 작은 점처럼 레이저를 맞은 피부가 파괴되고 파괴된 피부가 재생되면서 흉터가 좋아지게 되는 원리이다. 프락셀 계통 레이저의 장점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1주일 정도로 비교적 짧고 색소침착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심한 여드름 흉터를 치료하기에는 치료효과가 약한 것이 단점이다.

여드름흉터가 심한 경우에는 레이저박피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레이저박피술은 프락셀과는 달리 레이저로 모든 표피 세포뿐만 아니라 진피 조직까지 파괴하여 재생을 유도하는 좀 더 강력한 재생법이라고 할 수 있다. 광범위하게 기존 조직을 파괴하고 재생을 유도하다 보니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고, 색소침착 등의 약간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프락셀 계통의 레이저 치료로는 얻기 어려운 강력한 재생효과를 볼 수 있다. 재생효과로 인해 흉터도 좋아지지만 피부의 탄력도 개선이 되기 때문에 여드름 흉터로 인해 노안 피부가 되었던 사람들에겐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기고자 : 연세스타피부과 강진문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강진문 원장의 피부이야기

피부과 전문의가 말하는 우리 피부의 모든 것.

연세스타피부과 /강진문 원장
- 현 연세스타 피부과 원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전공의
- 연세 의대 피부과학 교실 교수
- 연세의대 피부과학교실 외래교수
- 분당 차병원 교수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