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의 혼탁이 심하면 눈부심과 물체가 겹쳐 보이고, 일부 환자들은 밝은 곳에서만 시력이 더욱 저하되는 주맹 현상을 겪기도 한다. 새 형광등을 계속 교체해도 실내가 침침하게 보이거나, 세탁을 깨끗이 한 하얀 수건인데도 누렇게 보인다는 백내장 증상의 호소는 백내장 환자들이 실제 일상생활 중 겪는 불편들이다.
백내장을 진단받으면 무조건 수술해야 할까? 진료실에서 환자들이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백내장 수술시기이다. 백내장 진단을 받은 환자 모두가 수술을 해야 하는 건 아니다. 백내장은 진행성 질환이므로 환자마다 백내장 진행 정도와 수술 시급성이 다르다. 백내장 초기이고 이로 인한 다른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경우 안약을 사용해 진행속도를 늦추는 보존적 치료법을 시행한다. 반면 중기 이상으로 진행돼 합병증 우려가 있다면 수술로 완치해야 한다. 백내장으로 인해 손상된 수정체는 원래 투명한 상태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환자의 수정체 대신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수술을 한다.
특히 60~70대 부모님 연령대는 시력저하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이 안전과 직결되므로 일반적으로는 백내장이 발견된 후 시력저하가 심하게 진행되기 전, 안전하게 회복할 수 있을 때 수술시기를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적절한 수술시기를 놓치면 수술이 더 까다롭고 회복이 더딜 수 있다. 주치의와 상의해 환자의 백내장 수술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백내장 환자들은 대부분 고령이므로 수술 시 당뇨, 고혈압과 같은 기저질환과 건강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당뇨환자는 당뇨망막병증과 같이 안질환 합병증의 발병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백내장 수술에 앞서 다른 안질환 여부도 함께 확인해야 한다. 혈당, 콩팥 기능 등 기존 환자의 건강 관련 사항도 수술 전 주치의에게 미리 상의해야 한다.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한 지금, 100세 시대 눈 건강은 앞으로의 삶의 질과 직결될 만큼 중요하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백내장 수술에 첨단 장비 기술이 도입되고 수술 후 통증 경감과 회복기간 단축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백내장수술용 인공수정체(렌즈) 역시 다양한 초점 기능 별로 개발되어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환자들이 체감하는 시력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백내장은 적기 치료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안질환이다. 60대 이후라면 내과에 꾸준히 검진을 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해 눈 건강관리를 꾸준히 하는 게 꼭 필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