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6,356

‘테니스 엘보’, 증상 심하면 관절경으로 괴사조직 제거해야

알면 알수록 건강해지는 척추 관절 이야기

스마튼병원/장세영 병원장

테니스, 골프 등을 즐기는 30~40대가 늘면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신체 손상으로 병원을 찾는 직장인 환자들이 늘었다. 최근 팔꿈치 통증이 심해 병원을 찾은 40대 정모씨는 ‘테니스 엘보’ 라는 진단을 받았다. 테니스 엘보는 무리한 손목 사용이 원인으로, 팔꿈치 바깥쪽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테니스 엘보는 주로 한 번에 많은 팔의 힘을 요구하는 스포츠 선수들에게서 많이 생긴다. 최근 미국 메이저리그의 유명 선수가 팔꿈치 부상으로 인한 괴사조직 제거를 위해 관절경 수술을 받았다는 뉴스가 있었다.

운동 선수가 아니더라도, 갑자기 운동을 시작한 일반인들 역시 손목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면 테니스 엘보가 쉽게 생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골프엘보, 테니스엘보 등 스포츠 활동 중 부상 환자가 2011년 58만8000명에서 2015년 71만7000명으로 약 22% 가량 증가했다.

테니스 엘보는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주사나 체외충격파를 이용해 증상을 완화시킬수 있지만, 통증이 심하고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절경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관절경 수술은 문제가 생긴 관절 부위에 0.5cm 정도의 구멍을 3군데 만들고 관절경을 삽입, 정상조직 손상없이 염증이나 괴사조직을 제거하는 것이다.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수술 후에도 통증이 심하지 않다. 때문에 조기 회복이 가능하며, 수술 후 재발 우려도 적다.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에도 팔꿈치 부위의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MRI(자기공명영상) 등 정밀검사를 통해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합한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알면 알수록 건강해지는 척추 관절 이야기

100세 시대, 건강하고 활기찬 인생을 위한 올바른 척추, 관절 건강관리 방법과 비수술적/수술적 치료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스마튼병원 /장세영 병원장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펜실베니아 대학병원(UPENN) 연수
미국 토머스 제퍼슨 대학병원 연수
로스만 연구소 Shoulder and elbow surgery 연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인공관절 센터 visiting doctor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스마튼병원 병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