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98누적된 총 기사 -366,675

엄지 발가락 휘는 ‘무지외반증’ 치료와 예방법.

알면 알수록 건강해지는 척추 관절 이야기

스마튼병원/장세영 병원장

무지외반증은 엄지 발가락이 검지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고 발뒤꿈치 쪽의 뼈는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무지외반증은 굽이 높고 신발 앞이 뾰족한 하이힐을 자주 신는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패션에 대한 관심 탓에 키 높이 구두나 발 볼이 좁은 구두를 즐겨 신는 남성들이 많아지면서 20~30대 남성 무지외반증 환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하이힐이나 불편한 구두로 인한 후천적 요인도 있지만 선천적 요인으로는 평발과 넓적한 발, 발 뼈의 변형, 과다하게 유연한 발 등이 있다. 그리고 무지외반증이 있는 환자의 약 60% 이상은 부모 중 한 명이 무지외반증이 있으며, 성인 환자의 절반이 청소년기부터 변형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유전적 요인이 무지외반증 발생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지외반증의 주 증상은 엄지발가락 내측 돌출 부위의 통증이다. 신발 마찰로 인한 활액막의 염증으로 인해 생기는 통증이다. 무지외반증이 발생하면 엄지발가락 쪽 관절이 체중을 딛기에 불편해지면서 작은 발가락(두 번째~다섯 번째 발가락) 쪽으로 체중이 실리는데, 이로 인해 작은 발가락에 굳은 살과 신경종이 나타날 수 있다. 정상적인 체중 부하를 못하다 보니 걸음걸이가 달라지고 발목, 무릎, 골반 및 허리에도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무지외반증을 예방하려면 굽이 낮고 볼이 넓은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만약 직업 때문에, 혹은 개인의 취향으로 하이힐을 꼭 신어야만 한다면 신는 횟수를 조절하거나 사무실에서는 볼이 넓고 편안한 신발로 대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하이힐 신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 보조기는 통증을 줄이고 병의 진행을 늦출 목적에서 사용해 볼 수 있으나 발의 변형 자체에는 효과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심하지 않은 변형이 있을 때는 비수술적 치료를 해볼 수 있으나 중등도 또는 중증의 변형 및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이 유일한 치료 방법이다. 수술은 발의 내측 부위에 튀어나온 뼈를 잘라내고 발등 쪽의 중족골이라는 뼈를 절골(치료목적으로 인위적으로 뼈를 골절시키는 것)한다. 추가적으로 엄지발가락뼈까지 교정하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수술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서 특수 신발을 신고 발의 뒤꿈치와 외측으로 체중 부하하면서 보행을 할 수 있다.

수술의 목적은 통증 완화 및 제거가 주 목적이며 예쁜 발 모양으로 미용적인 만족감과 신발 선택의 폭이 넓어져 자유로워지는 것은 덤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알면 알수록 건강해지는 척추 관절 이야기

100세 시대, 건강하고 활기찬 인생을 위한 올바른 척추, 관절 건강관리 방법과 비수술적/수술적 치료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스마튼병원 /장세영 병원장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펜실베니아 대학병원(UPENN) 연수
미국 토머스 제퍼슨 대학병원 연수
로스만 연구소 Shoulder and elbow surgery 연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인공관절 센터 visiting doctor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스마튼병원 병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