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98누적된 총 기사 -366,675

짧은 발가락 ‘단지증’, 본인 뼈 이식하는 치료가 효과적

관절, 척추, 족부 질환의 모든 것

광명새움병원/김응수 대표원장

발가락이나 손가락 일부가 짧은 단지증은 생명과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환자들에게 ‘마음의 병’을 유발하는 스트레스 요인이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어느 한 마디만 짧아도 단지증에 해당되는데, 대부분 환자들이 육안으로 보기에도 확연하게 구분될 만큼 짧다.

단지증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길이 형성에 관여하는 두 개 이상의 뼈가 짧은 경우다. 주로 엄지발가락이나 네 번째 발가락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고, 좌우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선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성장판 손상이나 외상 후 감염과 같은 후천적인 이유로도 생길 수 있다.

단지증은 그 자체로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보행 시 불편함을 주고, 발바닥에 굳은살이나 티눈 등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미용상의 문제로 어려서부터 해당 부위를 드러내기 꺼리는 등 자신감이 떨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대인기피증이 생기는 환자도 적지 않다. ‘마음의 병’으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단지증은 외형적으로 진단할 수 있지만, 엑스레이 영상을 통해 발등뼈만 짧은지 발가락뼈도 짧은지 정확하게 진단한 뒤 치료하는 게 좋다. 유일한 치료법이 수술이다.

본원 족부클리닉에서는 주로 자가골 이식법(자기 뼈를 잘라 이식하는 수술)을 이용해 치료한다. 자가골이식법은 단지증 발가락뼈를 골절시킨 후 자신의 골반 뼈 일부를 잘라 이식하는 수술법으로, 퇴원이 빠르고 부작용이 적다는 강점이 있다. 6개월이란 긴 시간 동안 뼈의 길이를 늘리는 외고정술과는 달리 골 이식을 통해 발가락 길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치료기간이 6주로 매우 짧다. 또한 수술 2주 후부터는 일상생활이 가능해 많은 환자에게 만족감을 준다.

하지만 자가골 이식법의 결과도 다를 수 있다. 검증되지 않는 병원이나 숙련도가 낮은 의사를 통하면 피부 괴사 등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사를 찾아 충분히 상담 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고자 : 김응수 광명새움병원 대표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이전
    이전 칼럼이 없습니다.
  • 다음
    다음 칼럼이 없습니다.

관절, 척추, 족부 질환의 모든 것

- 백세시대 "관절과 척추", 발 건강하게 지키는 법
-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절염, 근골격계 질환의 이해와 치료법에 대한 정보 제공

광명새움병원 /김응수 대표원장
김응수 원장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외래부교수
-을지병원 족부정형외과 전임의 및 임상교수
-USA Dallas Baylor University Medical Center 족부센터 임상전임의
-USA Dallas Presbyterian 병원 족부센터 근무
-목동 힘찬병원 족부센터 소장
-더조은병원 하지관절센터 소장
-미국 정형외과 족부학회 정회원
-대한족부학회 정회원
-대한 슬관절학회 정회원
-2008 스위스 바젤대학 족부센터 연수
-2008 스위스 취리히 족부센터 연수
-2009 프랑스 낭시 족부센터 연수

장문종원장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조교수 역임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국군양주 및 수도병원 정형외과 전문의(군의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
-서울아산병원 수련의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미국정형외과학회 정회원
-대한 정형외과학회 정회원
-미국 정형외과학회 정회원

임지순 원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수료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삼성 서울병원 성균관대 외래교수
-삼성 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삼성의료원 정형외과 슬관절 인공관절 전임의
-서울지방병무청 정형외과 장병전담과장
-중앙성모병원 정형외과 과장
-근막통유발점주사자극치료 연수
-근골격계 초음파 치료 연수

임경섭 원장
-성균관 의과대학 졸업
-성균관 의과대학 대학원 졸업
-삼성 서울병원 외래 조교수
-포항 세명기독병원 상지 미세수술센터 정형외과 과장
-삼성 서울병원 정형외과 임상교수
-삼성 서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대한 소아정형외과 정회원
-대한 골연장변형학회 정회원
-대한 견주관절 학회 정회원

박창현 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과정
-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 신경외과 전공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독일 뮌휀공과대학교(TUM) 의과대학 신경외과 척추 전임의
-강남 세바른병원 척추외과 원장
-대한신경중환자의학회 연수교육 수료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대한최소침습척추수술연구회 KOMISS 회원
-대한척추종양연구회 회원
-대한신경중환자의학회 회원
-대한통증학회 회원
-European Association of Neurosurgical Societies, EANS 회원

박청훈 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 의학교실 임상강사
-강남세브란스병원 통증클리닉 전임의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수련의, 전공의과정 수료
-대한통증학회 중재적신경블록 수료
-미8군 BRYAN ALL GOOD 121 GENERAL HOSPITAL 근무
-전 서울척병원 비수술치료센터 원장

김용찬 원장
-차의과대학병원 전공의
-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교실 임상강사
-강남세브란스병원 통증클리닉 전임의
-차의과대학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대한통증학회 중재적신경블록 수료
-대한통증학회 정형외과협회 TPI 과정 수료
-강원도 역학 조사관 수료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