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조민규 기자] 수면 구조와 알츠하이머병 사이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정 유형의 수면 감소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뇌 영역의 부피 감소와 관련있다는 연구 결과가 ‘임상수면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에 실렸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과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아 전문가들은 위험 요인을 제거해 잠재적으로 발병률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알츠하이머병은 해부학적으로 뇌가 위축되는 질환이기에 수면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는 이전부터 연구자들의 관심사였다.
연구진은 특정 수면 단계와 알츠하이머병에 취약한 뇌 영역 간의 관계에 집중했다. 연구진은 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연구에 참여한 270명의 참가자를 분석했다. 수면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면다원검사를 진행했으며 MRI를 사용해 13~17년 후의 뇌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완파수면 단계가 짧을수록 더 작은 하부 두정엽 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파수면 단계는 가장 깊은 단계의 수면으로 심박수, 호흡 및 뇌파가 규칙적으로 관찰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노인의 알츠하이머병 취약 영역의 위축과 수면 단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고 평가했다.
또한 수면이 뇌에서 독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와도 결을 같이 한다며 수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정확한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더 많은 수면을 취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건강한 선택인 점을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조민규
awe0906@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