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환자, 여름이 더 힘든 이유
여름철은 수면 패턴 변화, 영양상태 저하 등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이 크게 떨어지는 계절이다. 여름철 대표적 냉방기인 에어컨은 실내 공기를 차가워지게 하는 대신, 건조하게 만든다. 문제는 이러한 건조한 공기가 코점막을 마르게 한다는 점이다.
에어컨의 과다 사용으로 습도가 30~40%까지 떨어지면 호흡기의 점막이 마르고 저항력이 약해져 이물질 및 세균 제거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쉽게 여름 감기에 걸린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 증상을 자주 겪기 때문에 코 점막이 약할 수밖에 없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는 주요요인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애완동물의 털, 곰팡이 등이 있지만 이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기후변화, 담배연기, 스트레스, 실내오염물질 등이 있다. 즉,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사람에게 에어컨의 찬바람이 코를 통해 들어가면서 우리 몸이 급작스런 온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맑은 콧물과 재채기를 동반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에는 찬바람이 직접 닿는 것을 피하고 실내외의 온도차는 5도 이상 나지 않도록 조절하며 30분~1시간 사이에 한 번씩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다. 또 에어컨의 필터를 자주 청소해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여름에 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은 앞서 말한 에어컨 외에도 장마철의 습기와 곰팡이, 차가운 음식 등을 들 수 있다.
요즘처럼 무덥고 습한 날씨에는 알레르기 원인물질 중 하나인 집먼지 진드기의 숫자가 급증하므로 실내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고 습도를 50% 내외로 조절해주는 것이 좋다.
여름철 자주 접하게 되는 찬 물, 찬 음식의 섭취에도 주의해야 하는데, 위장의 열 손실은 곧 호흡기를 비롯한 인체 곳곳으로 이어져 몸의 방어능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알레르기 비염은, 한방 치료를 통해서도 개선이 가능하다.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한방치료는 우선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고 증상을 치료하며 알레르겐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튼튼한 체질로 만들어 주는 것이 치료의 기본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치료해도 낫지 않는다.'라는 통념 때문에 치료를 기피하게 되는데, 제대로 원인 물질을 알아내서 환경요법이나 적절한 약물요법을 통하여 현명하게 알레르기 질환을 극복한다면 삶의 질을 올리고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다.
영동한의원 김남선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