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26누적된 총 기사 -365,823

엘비스프레슬리와 마돈나 신드롬

남자와 여자사이

강동우 성의학 클리닉·연구소/강동우

왕은 죽었다(The King Is Dead) : 성행위를 회피하는 남성, 무의식의 문제일 수도…

최근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의 저택 그레이스랜드(Grace land)를 다녀간 미·일 양국 정상의 외교행적이 화제가 됐었다. 1만7천 여평의 대지에 그의 소장품 전시홀과 가족 묘지, 그가 애지중지했던 핑크 캐딜락을 포함한 차 박물관 등을 갖춘 그레이스랜드는 매년 약 6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미국의 관광명소다. 이 저택은 1957년 그의 첫 히트곡인 '하트브레이크 호텔'(Heartbreak Hotel)’의 수익금으로 사들였다는데, 실제로 Heartbreak Hotel로 명명된 관광객을 위한 호텔도 함께 있다.

필자 부부도 미국 연수시절 그레이스랜드를 찾았던 적 있는데, 엘비스의 취향과 소장품들로 장식된 Heartbreak 호텔에 며칠 묵으면서 그의 삶을 되돌아 본 적 있다. 하지만, 아름답게 꾸며진 호텔의 침실과 달리 그의 부부생활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엘비스에게는  ‘마돈나 신드롬’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돈나(madonna)는 원래 이탈리아어로 ‘나의 부인’이란 뜻인데, ‘마돈나 신드롬’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아내를 말초적인 성의 대상보다 어머니와 같은 모성 본능의 존재로 여겨 성생활을 회피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신드롬은 특히 아내가 출산하여 아이의 엄마가 되는 경우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어머니의 생일선물로 자신의 노래를 녹음해주고 싶어 4달러를 들고 녹음스튜디오를 찾았다가 가수에 입문했던 엘비스는 유달리 엄마와 가까웠고, 자신의 아내 프리실라가 딸 리사 마리를 출산한 이후로 부부간에 성관계를 제대로 가진 적 없었다. 젊디 젊은 미인 아내를 집에 두고 밖에서 수많은 여성들을 전전하며 외도를 일삼던 그의 결혼생활은 결국 얼마 못 가서 파경에 이르고 말았다. 

마돈나 신드롬을 가진 남성들은 성욕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자위나 외도, 매춘여성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아내와의 성생활은 회피하고 그외의 여성과 온갖 난잡한 방법으로 성적 욕구를 채운다. 즉 성적 대상으로서 여성의 존재가 철저히 이분되어 있는 것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경우 부부간의 괴리현상은 뻔한 일이다.

한국 남성들에게도 마돈나 신드롬은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마돈나 신드롬은 남존여비적인 전통관념에다가 유달리 성매매가 쉬운 현실과 묘하게 맞물려 더 악성 상태에 있다. 어머니의 고상함이 오버랩된 아내의 복잡한 이미지에 따라붙는 정신분석적 갈등, 말초적인 성적 요구를 아내에게 했을 때 곤두박질칠 것 같은 체면 염려증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남편이 아내를 회피하는 데는 마돈나신드롬 외에도 두사람 사이의 뿌리깊은 갈등, 외도, 주도권 다툼 등이 또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그외에도 성기능에 문제가 있어 회피하는 경우도 많다. 상황이 이러한데 성생활에 대한 부부간의 솔직한 대화 같은 것은 먼 나라 얘기다. 그간 한국의 남성들은 성에 대한 부부간의 대화는 그 필요성조차 부정하며 문제를 회피해 왔다.

엘비스가 사망했을 때 미국언론은 ‘왕이 죽었다(The King is dead)’고 했다. 부부사이에 침대에서 왕이 되는 것은 성기의 크기나 그 흔한 정력 탓이 아니다. 아내와 얼마나 친근한  동반자의 관계를 이루느냐에 달린 부분이 크다. 

/강동우-강동우 성의학 클리닉·연구소장
/백혜경-성의학 전문의· 커플치료 전문가


입력 : 2006.07.10 09:17 00'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남자와 여자사이

왜곡된 성과 성기능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접근

강동우 성의학 클리닉·연구소 /강동우
미국 킨제이연구소 연구원
서울 의대 임상교수
현 강동우 성의학 클리닉·연구소 소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