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은 골반과 허벅지의 뼈를 이어주는 신체에서 가장 크고 두꺼운 관절로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 무릎과 함께 지탱해 주는 부위이다. 걷기, 뛰기, 앉기, 일어서기 등 다양한 행위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면 삶의 질이 떨어질 정도로 신체활동에 큰 제한을 받게 된다.
대퇴 골두와 대퇴 골두를 둘러싼 연골, 비구, 비구순 모두가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고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대퇴 골두는 관골과 맞닿아 있는 둥근 부분으로 고관절의 머리 부분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대퇴 골두에 혈류가 차단되면 뼈 조직이 죽는 괴사가 일어나는데 이를 고관절 무혈성 괴사, 즉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라고 진단한다. 흔히 뼈가 썩는다는 표현을 하는데, 뼈가 썩는 것이 아닌 조직이 죽어 골절되거나 무너져 내리기 쉬운 상태를 말한다.
약해진 부위에 압력을 심하게 받거나 체중이 일방적으로 쏠리면 대퇴 골두가 망가져 버린다. 특히 괴사된 뼈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면 이미 괴사된 부위가 골절되며 망가져서, 고관절 자체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이 생긴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는 모든 연령대가 늘 조심해야 하는 질환이기도 하지만, 특히 남성에서 발병 빈도가 높은 질환이다.
대퇴골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와 같은 외상을 입거나, 외상을 입은 병력이 없음에도 잦은 음주 또는 스테로이드 약물의 잦은 사용 후 고관절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질환은 심하면 고관절 치환술까지 고려해야 할 정도로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질환이 아니다.
대부분의 고관절 환자들이 양반 다리를 힘들어하고 사타구니의 통증으로 인해 걸을 때 절뚝거리는 증상을 보인다. 심한 경우 첫 병원 방문임에도 고관절 치환술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괴사 정도에 따라 괴사 부위가 함몰되면 다리 길이가 짧아진 것을 느끼기도 한다. 이처럼 이전에 없던 통증이 엉덩이와 사타구니 부근으로 생기고 일주일 이상 사라지지 않는다면, 서둘러 전문의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한편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완화돼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게 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기도 하다. 이런 경우는 수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확실한 치료가 중요하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병기는 1~4기로 구분한다. 1기는 괴사가 발생하긴 했지만 방사선 엑스레이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딱히 발견되지 않은 시기이다. 여기서 골절선이 생겨난 경우 2기, 괴사 부위가 함몰된 상태를 3기, 함몰과 관절 간격이 좁아진 4기는 이차성 퇴행 변화가 모두 찾아온 상태이다.
초기에 해당하는 1~2기까지는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진행이 심각하지 않으며, 괴사 크기가 비교적 좁은 상황이기에 약물치료, 찜질치료, 물리치료, 재활치료 등 비수술적 개선 과정으로 완화해 볼 수 있다. 2기를 지나면 괴사 부위가 크기 때문에 고관절 치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법으로는 괴사부를 살려내는 '재생술', 자기 관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괴사되지 않은 부위에 체중이 실리도록 골두를 돌려주는 '절골술', 망가진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이 있다. 본원 고관절 인공관절팀에서는 의사에겐 조금 힘들지만, 환자의 만족도가 더 높고, 합병증이 적은 ’직접전방도달법‘을 선택하여 진행한다. ‘전방도달 최소 침습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인 ‘직접전방도달법’ 수술은, 전반적으로 통증 감소, 흉터 감소, 빠른 회복 시간, 잠재적으로 더 나은 기능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 환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수술이다.
치료가 진행되고 난 후에는 괴사가 진행되었던 부위가 다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재활운동을 진행해야 한다. 그동안 구축되었던 관절을 풀어주어 가동 범위를 넓히고, 사용하지 않아 약화한 근육을 강화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괴사 되었던 부위의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병원에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고관절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 보는 게 좋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건강한 고관절과 무릎을 위한 곽상준 원장의 조언
- 무릎 인공관절 재치환술, 적절한 시기 결정이 중요
- 가족을 행복하게 하는 로봇 무릎 인공관절을 꿈꾸며
- 갑작스런 한파에 빙판길 사고, 고관절 골절 주의 필요
- 심한 발목관절염, 인공관절 수술 필요할까?
- 손목 골절 치료법, 수술 vs 통깁스 어떤 선택이 옳을까?
- 고관절 골절, 나이 들어 갈수록 경계해야
- 성공적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 위해 꼭 고려해야 하는 것은?
- 퇴행성관절염 치료, ‘인공관절 VS 근위경골절골술’ 뭘로 선택해야 할까?
- 발목 관절염 치료해야 하는데, 내 발목도 인공관절 가능할까?
- 골절, 수술하면 무조건 뼈 붙을까?
- 척추압박골절,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한 이유
- 무리한 활동 후 아픈 골반, 비구순 파열 의심해 봐야
- 휜다리 수술하면 다리 예뻐질까? '근위경골절골술'이란…
- 여행 망치는 ‘피로골절’ 피하고 싶다면?
- “뼈가 안 붙어요” 팔 골절 후 불유합 생기면?
- 로봇인공관절수술, 무통주사 안 맞고도 할만하네요
- 휜다리 그대로 방치한다면? 인공관절, 피할 수 없어
- 안전한 무릎 인공관절 수술, 어떤 선택해야 할까?
- 손목 골절 (원위 요골 골절) 의 합병증
- 인공관절 수술하면 언제부터 걸을 수 있을까?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