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61누적된 총 기사 -365,461

항생제 부작용,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박억숭 과장

항생제 주의사항

“주사 맞고 기절 한 적 있나요?” 병원에서는 ‘약물 부작용’에 관한 질문을 많이 한다. 항생제 부작용 몇 가지를 알아보자.

항생제 부작용
항생제 부작용은 크게 과민반응, 독성, 중복감염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항생제 자체 혹은 대사산물에 대한 면역 반응인, ‘과민반응’이 종종 일어난다. 페니실린은 피부가 가렵고 붉게 변하는 두드러기에서 혈압이 떨어지는 아나필락시스 쇼크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는 ‘제1형 IgE-매개 반응’이다. 반코마이신의 경우 주입 속도가 빠르면 전신이 빨갛게 변하고 오심, 구토가 동반하는 레드맨 증후군(red man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항생제 혈중 농도가 높으면 인체 특정 부위와 계통에 ‘독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 배당체는 청각기관 털 세포(hair cell) 세포막에 영향을 줘 귀독성(ototoxicity)이 일어날 수 있다.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은 골수에 존재하는 세포 사립체에 영향을 줘 골수 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퀴놀론(fluroquinolone)은 연골과 힘줄,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은 뼈에 대해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광범위 항생제와 병용 사용은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등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정상 세균총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진균, 내성 세균 등 기회 감염균의 성장을 초래할 수 있고 이런 현상을 ‘중복감염(super-infection)’이라 한다. 이러한 중복감염 치료를 위해서는 새로운 항생제를 사용이 필요하다.

항생제 반응 검사(antibiotic skin test; AST)
항생제 반응 검사(AST)는 항생제나 조영제(CT) 사용 전 과민반응 중 치명적일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미리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피부에 시행한다. 항생제는 보통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 β-lactam 계열 약물 사용 전에 검사한다. 하지만, 통증, 시간 지체 문제,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음성 예측도 등 논란의 여지는 아직 많다. AST 시행보다 과민증 반응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 그리고 발생했을 때 취할 수 있는 ‘처치(쇼크 치료)’를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