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미용에 사용하는 보톡스는 알고 보면 근육 이완제다. 근육 이완제의 ‘종류와 기전’을 알면 왜 피부 미용에 흔히 쓰이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근육에 작용하는 약물
근육을 이완시키는 약물은 ‘신경 근육 접합부’에 작용하거나, ‘근육’에 직접 작용하는 약물, 두 가지가 있다.
‘신경 근육 접합 부위’에 작용하는 근육 이완제가 있다.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결합을 방해해 근육 수축을 차단한다. 근육 이완 효과가 강하다. 대표 약물은 ‘베크론(VecronⓇ)’이다. 숨길에 관을 삽입하는 응급상황에서 호흡 담당 근육의 마비가 필요할 때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인공호흡(기계 환기) 유지 등 중환자 치료의 보조제로도 많이 사용한다. 혈관으로 주사해 보면, 순식간에 숨 쉬는 근육의 움직임이 사라진다.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숙련된 의사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근육’에 직접 작용하는 대표 약물은 ‘보툴리눔 독소’다. 이 약물은 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비를 차단해 효과를 나타낸다. 많은 양에 노출되면 위험하지만, 소량으로 사용하면 이상 근육 긴장에서 근육 이완에 효과가 있다. 미용에서 ‘보톡스’라고 불리는 이름의 주사가 바로 이것이다. 얼굴 주름 부위에 주사하면, 주변 근육이 점점 마비, 이완된다. 결국, 주름 부위가 탱탱하게 펴져 보인다. 보톡스는 주로 작은 근육에 사용하고 눈 경련, 편두통, 발한에도 효과가 있다. 심각한 부작용으로 협심증, 호흡곤란, 연하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다행히 성인에서는 드물다.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근육 이완제도 있다. 사실 명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원을 억제하고, 척수의 반사를 조절한다고 알려졌다.
불안할 때 사용하는 항불안제, 벤조디아제핀 약물(diazepam)이 대표적이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 효과를 강화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활동을 모두 억제한다. 마치 최고급 벤츠를 타면 근육 긴장도 풀리고 이완되면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과 같다. GABA와 구조가 비슷한 약물(baclofen)도 있다. 이 약물은 뇌와 척수에서 신경 활동을 억제해 척수 손상 환자에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졸음, 현기증, 무기력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