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여름,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사타구니 탈장을 주의해야 한다. 탈장은 복강 내의 장기가 복압을 이기지 못하고 약해진 복벽 틈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으로, 골반 안쪽 근육이 약해져 일부 장기가 빠져나오는 골반장기탈출증과는 다른 질환이다.
2020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서혜부 탈장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5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장은 복압이 높아질 때 발생한다. 특히 여름휴가를 준비하며 운동할 때 과한 복근 운동, 몸을 비트는 행위 등으로 복부 근막이 손상될 수 있다. 이때 손상된 근막을 통해 복벽을 뚫고 장기가 빠져나오는 것이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구조적으로 특정 부위 복벽이 약하기 때문에 남성에서 발병률이 더 높다.
사타구니 탈장이 발생하면, 사타구니 부위에 혹처럼 생긴 부분이 돌출되고 이 피부 속에 부드러운 덩어리가 만져진다. 초기에는 덩어리를 누르거나 바닥에 누우면 다시 들어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잘 들어가지 않고 점점 커지기 때문에 치료는 되도록 빨리 받는 것이 좋다. 증상을 방치하면 튀어나온 장이 복벽에 생긴 구멍에 껴서 괴사할 수 있고, 만약 장 괴사가 일어나면 장을 절제해야 한다.
탈장의 치료법은 수술이 유일하다. 신체의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에 자연치유나 약물 등 비수술적인 치료로는 완치가 어렵다. 수술 방법은 단일통로복강경 수술 방법을 통해 배꼽에 1.5cm 정도의 절개창 하나만 내고 그 안에 수술 기구를 넣어 탈출한 장을 다시 복벽 안으로 넣고 결손된 복벽을 인공막을 이용하여 보강해 주는 치료를 한다. 절개창이 하나라서 통증과 감염이 적어 회복이 빠르고, 수술 후 흉터도 거의 남지 않는다.
탈장을 예방하려면 본인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을 해야한다. 무리한 고강도 운동의 반복으로 복압이 올라가 탈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등 갑작스럽게 복압을 높이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평소 만성 변비나 천식을 앓고 있다면 미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대소변을 볼 때 과도하게 배에 힘을 주기 쉽고, 기침 때문에 배에 갑자기 힘이 들어갈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근 병원장의 <외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외과질환 바로알기>
- 발뒤꿈치·발바닥 아픈 족저근막염… 내시경 유리술로 치료 부담 줄어
- ‘물 단식’ 다이어트 유행? 건강 지키려면 차라리 ‘이것’ 다이어트
- 여름 준비, 다이어트만? 소음순 성형으로 외음질환 대비도
- 다이어트 운동 시작했더니 질 방귀에 요실금까지?
- 발과 발목을 진료하는 의사도 발바닥 고통을 겪게 만든 ‘족저근막염’
- 연말에 혹시 살쪘나요? 다이어트 미룰수록 지방은 ‘차곡차곡’
-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이 가장 중요
- 갱년기 나잇살엔 ‘이런’ 다이어트가 효과
- 임박한 여름, 요요 없는 다이어트 원칙 4
- 발뒤꿈치 통증 ‘족저근막염’, 내시경유리술로 치료부담 적어져
- 다이어트, 건강한 마음으로 해야 효율 높아져
- 새해엔 ‘나쁜 다이어트’ 그만... 더 똑똑하게 비만 타파
- 누구에게나 안전한 탈장수술은?
- 다이어트 실패와 이별하는 방법
- 누구나 안전한 국소마취 무인공망 탈장 수술
- 어렵기만한 다이어트… 우울감은 피할 수 없다?
- 지방흡입, 속성 다이어트 방법일까?
- ‘날씬한 허리 둘레’를 목표로 다이어트해보세요
- 임신 전 다이어트, 왜 해야 할까?
- 동기부여는 최고의 다이어트 필살기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