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6,356

갱년기 무릎관절염…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로

관절 주치의 고용곤의 건강 칼럼

연세사랑병원/고용곤 원장

최근 들어 닳고 있는 무릎의 연골로 인해 무릎관절의 통증을 호소하는 50대 여성 환자들이 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여성은 ‘갱년기’라는 인생의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기 때문이다.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갱년기는 45세에서 55세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의 여성은 폐경 이후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골밀도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시기에는 두근거림, 발작성 흥분, 안면 홍조, 두통, 현기증, 이명, 불면, 위장장애 등 생활에 불편을 겪을 정도의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는데, 그중에는 골밀도의 감소처럼 일상에서 쉽게 느낄 수 없는 증상도 있다. 골밀도 감소에 의해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으로 진행되면 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지만, 실제로 골절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당사자는 골밀도가 감소한 것을 잘 알아채지 못한다. 이것은 무릎관절염의 퇴행을 가속하는 원인이어서 더 문제가 된다.

‘골관절염’을 흔히 ‘퇴행성관절염’으로 부르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소견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퇴행성관절염을 두고 ‘노인이 겪는 질환’이라는 편견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고질병이라 부를 만큼 노인층에게 흔한 질환이기는 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앓는 50대 여성 환자 수는 두드러진다. 여성은 폐경을 통해 신체 곳곳에서 노화로 인한 변화가 가속화하는 시기를 겪기도 하지만, 빠른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는 요인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다른 관절과는 다르게 무릎관절은 나이, 여성, 비만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이 여성 호르몬의 영향과 연관되어 있는 50대 여성에게 ‘갱년기’는 각별히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주의해야 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원래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지만, 관절을 이루는 뼈 등 주변 조직에 손상이 발생하면 연골의 손상이 급속히 진행된다. 골밀도의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는 갱년기 여성에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이러한 신체적 변화에 일상에서 무심코 행하는 행동이 더해지면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더욱 가속화한다. 무거운 짐을 자주 들거나 높은 굽의 구두를 즐겨 신고, 자주 무릎을 부딪치는 등의 부주의한 행동과 쪼그려 앉거나 다리를 꼬는 등의 잘못된 자세는 무릎관절에 많은 부담을 준다. 여기에 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지 않거나 체중관리에 실패한다면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악화 요인을 스스로 만드는 셈이 된다. 따라서 하루라도 빨리 잘못된 행동과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걷기 등 집 밖에서 행하는 근육 단련 운동은 내 무릎을 관리하는 좋은 방법이자 갱년기 여성의 심리적 변화를 다스리는 데에도 도움을 주는 현명한 방법이다.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반갑지 않은 시기가 찾아올지라도 일상에서 교정할 방법과 치료법 등 관련 내용을 미리 알아두면 충분히 잘 대처할 수 있다. 50대에 찾아오는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연골 손상이 비교적 적은 초기일 확률이 높으므로 연골을 재생하는 치료로 충분히 무릎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골밀도 감소를 점검하지 않거나 무릎 통증 등의 증상을 방치할 경우 자칫 연골 손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 통증만을 다스리는 치료에 의존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연골을 재생하고 주변 조직을 치료하는 근본 치료법인 줄기세포 재생치료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의미다. 무릎 연골의 경우 조기 치료는 줄기세포 재생치료의 유효성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관절 주치의 고용곤의 건강 칼럼

국민 관절 건강 주치의 고용곤 원장이 들려주는 관절 건강 이야기.
무릎 퇴행성관절염, 인공관절, SVF 치료까지.
관절 건강과 치료에 이르는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인턴 수료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레지던트 수료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수료
FIFA 축구의학 학위과정 수료
現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現 대한정형외과 슬관절학회 평생회원
現 질병관리본부 기관생명윤리 위원회원
現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외래교수
現 ISAKOS 공인수련기관 기관장
現 연세사랑병원 임상시험실시기관 기관장
2003 ~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