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22누적된 총 기사 -365,823

여름철 다이어트 중 보양식 챙겨먹기

지방흡입 이야기

365mc 노원점/채규희 원장

올해도 오는 7일 ‘소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여름이 찾아올 전망이다.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에 해당하며, ‘작은 더위’라는 이름답게 장마철과 동시에 더위가 찾아온다.

이 시기부터 묘하게 몸이 축 처지고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여름철 체력관리를 위해 보양식을 찾았다. 특히 체중 감량에 나서고 있는 다이어터라면 체력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이때 어떤 보양식을 선택해야 할까. 여름의 ‘소울푸드’ ‘시그니처’로 볼 수 있는 삼계탕부터 떠올리기 마련이다. 힘의 상징 장어 생각도 날 수 있다.

이들 보양식은 기운을 북돋아주지만, 지방흡입을 받았거나, 다이어트 중인 사람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자칫 ‘칼로리 폭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다수 보양식에는 건강한 영양소뿐 아니라 지방과 단백질이 필요 이상으로 풍부해 의도치 않게 과도한 열량을 섭취할 수 있다.

우선, 삼계탕은 찹쌀까지 포함하면 열량이 933kcal에 달한다. 밑반찬 등을 곁들여 ‘폭풍 흡입’하면 1000kcal는 우습게 넘어간다. 이는 성인 남성 기준 1일 권장 섭취 열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삼계탕은 닭고기가 주재료이기 때문에 단백질이 대부분일 것으로 생각해 ‘괜찮다’고 여기기 쉽다. 하지만 닭가슴살만 쓰이는 것도 아니고 지방이 많이 함유된 부위도 함께 들어가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 닭고기는 60~70%가 지방으로 이뤄져 있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닭 껍질은 다이어터가 되도록 피해야 하는 부위다. 기름기가 우러난 국물도 가급적 피해야 한다.

장어도 주의해야 한다. 단백질, 비타민 A·E 등이 풍부하다. 하지만 삼계탕과 마찬가지로 열량이 높아 너무 많이 섭취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100g당 300kcal로 삼계탕보다 칼로리가 더 높은 고열량식이다. 간장과 설탕이 들어간 양념구이보다 담백한 소금구이로 섭취하는 게 권고된다.

다이어트 중인 사람에게 필자가 추천하는 음식은 생각보다 간단해서 ‘정말 이걸로 보양이 된다고?’ 아쉬워할 수 있다.

우선 다이어터의 베스트프렌드 ‘닭가슴살’이다. 닭가슴살 속에는 피로를 해소하고 체력을 북돋는 이미다졸 펩타이드와 플라즈마로겐이 풍부하다. 이는 일본 연구진이 철새 연구를 통해 밝혔다. 철새의 가슴살 부위의 이들 성분이 충분히 비행하는 체력을 북돋아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닭가슴살 반쪽만 먹어도 피로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큼한 키위도 추천 식품이다. 여름 제철 과일로 비타민C가 더 풍부해 피로회복을 돕는다. 칼슘이나 철분 등의 흡수를 도와주고 미네랄이 풍부해서 여름철 빼앗긴 체력을 보충하는 데 유리하다.

음식은 아니지만, 적절한 유산소 운동 역시 여름철 보양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뜨거운 것으로 더위를 이겨낸다는 ‘이열치열’ 원리와 흡사하다.

보양식 역시 뜨거운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땀을 낸 후, 서서히 땀을 식혀 체온을 낮춘다는 원리를 통해 일시적으로 기운을 강화한다.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자연스럽게 땀이 흐르고, 피부 표면에 있는 땀이 마르면서 체온을 뺏어 일시적으로 시원하고 기운이 솟아난 느낌을 준다. 이 같은 원리는 보양식 대신 가벼운 유산소운동으로 땀을 흘려주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한여름 빛이 강할 때 무리하게 유산소운동에 나설 경우 탈수 등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바람이 선선해지는 저녁 무렵 하루 30분 정도 가볍게 운동해 주는 것으로 여름철 체력 관리는 물론 날씬한 몸매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지방흡입 이야기

지방흡입과 전후 관리법에 대한 이야기

365mc 노원점 /채규희 원장
학력 및 약력
현 대한비만미용치료학회 총무이사
현 대한지방흡입학회 상임이사
현 365mc 대표원장 협의회 상임이사
렛미인 비만·체형 대표 주치의
American Academy of Aesthetic Medicine 정회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 의학박사


방송 및 저술 활동
<방송>
2016 KBS 여유만만 <비만의 원인, 장속세균> 출연
2012~2015 렛미인 출연
2012 MBC 불만제로UP <고소한 실험 편> 출연
2010 SBS 스타킹 <숀리의 다이어트킹 편> 다이어트 주치의 출연
2010 KBS2 아침 뉴스타임 <화제포착, 이게기부? 희한하네! 편> 출연
2008 SBS 모닝와이드 <갱년기 여성의 우울증과 다이어트 편> 출연
2008 KBS2 무한지대큐 <탄수화물 중독증 편> 출연
2008 SBS 모닝와이드 <밥상 위 칼슘을 보충하라! 편> 출연

<저서>
식이요법 도서 <신나게 먹고 10kg 빼기> 공동저자
비만·체형 도서 공동번역 출간
다이어트 도서 <여우들의 S라인 시크릿 노하우> 공동저자
가정의학 교과서 공통 집필진 <보톡스와 필러> 공동저자
올바른 약물처방법 도서 <임산비만약물학> 공동저자
신개념 비만시술 도서 <잘빠졌다 LAMS> 공동저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