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을 들어 올리거나 기지개를 펼 때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어떤 때는 소리가 너무 커서 깜짝 놀랐다는 분도 계시고, 통증은 없는데 자꾸 소리가 나니까 신경 쓰여서 못 살겠다 하고 내원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어깨에 큰 병이 생긴 것은 아닌지 오랫동안 불안해하시다가 병원에 오시기도 합니다.
본 편에서는 어깨를 움직일 때 ‘뚝’ 하고 소리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경우에 빨리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어깨에서 소리가 나는 원인은?
① 어깨 힘줄에 손상이 있거나 주위 뼈와 충돌이 일어날 때
어깨 힘줄이 나이가 들면서 너덜거리거나 찢어지면 힘줄 표면이 고르지 않아서 어깨를 움직일 때 주변 조직과 마찰 되면서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어깨 회전근개파열)
또는, 팔을 위로 올릴 때 어깨 힘줄이 견봉이라는 어깨 뼈와 충돌하면서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어깨 충돌증후군)
② 어깨 관절 내 연골이 손상되어서 마찰될 때
어깨 관절 내부는 매끈한 연골에 의해서 덮여 있으므로 어깨를 움직일 때 마찰 없이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만일 관절염으로 연골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면 관절 연골면이 울퉁불퉁해져서 팔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어깨 퇴행성 관절염)
③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막이 쪼그라드는 경우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막이 굳어지는 질환에서는, 갑자기 팔을 움직일 때 경직된 상태에서 굳어있던 어깨 관절막이 살짝 풀리면서 투툭하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어깨 오십견)
④ 날개뼈(견갑골)와 주변 근육이 서로 마찰할 때
날개뼈(견갑골)와 주변의 근육이 서로 움직이면서 부딪혀서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⑤ 날개뼈(견갑골) 주위의 근육들이 뭉치면서 근막들이 서로 마찰할 때
어깨 주위의 근육들이 경직되어 뭉친 경우, 경직되어 팽팽해진 근막들이 서로 마찰되며 부딪히면서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 가끔 소리만 나고 아프지 않으면 괜찮나요?
날개뼈 주위 근육이나 힘줄의 마찰로 인한 소리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어떤 질환에 의해서가 아니라 근육이나 인대의 경직 때문에 나는 소리이므로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서 날개뼈 주위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풀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어떤 경우에 빨리 치료해야 하나요? (어떤 경우에 빨리 병원을 가야 할까요?)
어깨에서 소리가 날 때 가장 먼저 체크하셔야 할 점은 소리 나는 원인이 병적이냐, 병적이지 않느냐입니다.
소리의 원인이 병적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가장 간단한 포인트는 바로 통증이 동반하느냐 여부입니다.
(1) 어깨 퇴행성관절염
어깨 관절의 연골이 상하거나 관절염 등으로 노화되어서 관절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어깨를 돌리는 동작에서 버걱버걱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2) 어깨 회전근개파열
어깨 힘줄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면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서 주위 조직과 부딪히며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거품이 터지는 듯한 느낌(보글보글)의 소리가 나면서 팔을 올릴 때 통증이 있다면 바로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어깨 충돌증후군
팔을 위로 들어 올릴 때 걸리는 느낌과 함께 뚝 소리가 어깨 위쪽에서 나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통증이 덜 하면서 버걱버걱 하거나 맷돌 갈리는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통증이 심하지 않으므로 감별하는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의 3가지 경우는 병적인 상황, 즉 질환에 의해서 소리가 나는 것이므로 바로 어깨통증병원, 정형외과를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 소리를 내면 시원한 느낌이 드는데… 일부러 소리를 내는 습관은 안 좋나요?
어깨 주변의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는 것은 괜찮습니다.
그러나 과도하게 소리를 강박적으로 내거나 어깨를 씰룩씰룩하는 습관은 힘줄이나 근육에 과도한 자극을 줘서 오히려 힘줄 손상을 일으키는 등 관절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항상 어깨 주변의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고 양측 어깨 균형을 맞춰주는 정도의 스트레칭이 가장 어깨 건강에 도움이 되는 습관입니다.
오늘은 어깨에서 소리가 나는 원인, 그리고 언제 빨리 병원을 방문하셔야 하는지에 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중요한 점은 어깨에서 소리가 나도 괜찮은 경우가 있고, 소리가 심하지 않아도 병적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소리가 날 때는 먼저 어깨 정형외과 전문의를 방문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서희수 원장의 어깨·무릎 질환 이야기
- 팔 저림 심한데, 목 디스크 때문일 수 있다고?
- 어느 날 뼈가 ‘툭’ 부러졌다… 소리 없이 다가온 ‘골다공증’의 위협
- 어깨 회전근개 파열 수술, 재파열 줄이는 방법은?
- 어깨 굳는 ‘오십견’, 내시경 유착박리술로 치료 부담 줄어
- 중년 이후 의도치 않은 난감한 소리 ‘질음’, 예방법은 없을까?
- 팔꿈치 통증,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 팔이 저리고 마비될 때, 어떻게 하면 될까요?
- 어깨통증 ‘석회성건염’, 내시경 석회제거술로 부담 없이 치료 가능
- 퇴행성관절염 치료, ‘인공관절 VS 근위경골절골술’ 뭘로 선택해야 할까?
- 만성 어깨통증, 목 디스크 신호일까?
- 팔꿈치 신경 압박, 상당히 흔한 ‘주관증후군’… 젓가락질 안 되고 손도 말라
- 회전근개파열, ‘삼중브릿지봉합술+PRP재생술’로 재파열 줄여
- 팔 연장 수술, 어떤 사람에게 필요할까?
- “뼈가 안 붙어요” 팔 골절 후 불유합 생기면?
- 무릎 퇴행성관절염, 연골 재생 돕는 신의료기술의 등장
- 엄지손가락 퇴행성관절염의 비수술적 치료
- 어깨 통증은 날씨와 관련이 있을까?
- 젊은 사람에게 더 흔한 어깨충돌증후군
- “투석할 때 팔이 아픕니다”
- 어깨 관절 충격파 치료 효과는?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