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에는 버선을 신어서 생겼기 때문에 ‘버선발’이라고도 했다. 앞부리가 좁고 뾰족한 구두를 오래 신었거나, 선천적으로 관절이 유연해서 생긴다. 엄지발가락에 힘을 많이 주어야 하는 무용수 사이에도 흔하고, 걸음걸이가 잘못되었거나 평발인 경우에도 생긴다.
|
발에 있는 근육들은 구두 속에 갇혀 살면서 많이 퇴화되었고, 근육을 사용하는 방법을 잊어버린 사람도 많다. 손가락을 옆으로 벌리듯이 발가락을 벌릴 수 있다면, 엄지발가락 외반증을 막을 수 있다.
|
주의할 점: 엄지발가락이 위로 향하거나 아래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옆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벌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엄지발가락을 바닥에 대고 발꿈치를 들어서 강제로 벌려서는 안 된다. 손가락이나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벌리면 오히려 더 심해질 수 있으니 피해야 한다. 구두를 신었을 때 발가락이 가운데로 모이는 느낌이 드는 신발은 피한다.
엄지발가락에는 둘째 발가락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근육이 붙어 있는데, 이 근육을 스트레칭 해야만 엄지발가락이 잘 벌어질 수 있다.
|
|
엄지발가락을 감싼 쥔 손을 손등 쪽으로 돌려서 엄지발가락의 발톱이 둘째 발가락을 향하도록 돌린다<사진 7>.
엄지발가락을 감싼 쥔 손을 둘째 발가락에서 멀어지도록 벌리면서 발등 쪽으로 잡아당긴다<사진 8>.
위에서 내려다 본 휜 발가락 스트레칭 자세. 발목도 발등 쪽으로 젖힌다<사진 9>. 이런 자세로 30초를 유지한다. 둘째와 셋째 발가락 뿌리 쪽으로 근육이 당기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주의할 점:
발의 볼을 잡아주지 않고 엄지발가락만 잡아당기게 되면 오히려 엄지발가락이 더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발에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인대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휜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다른 이상이 있는지 전문의와 상담 후에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박시복-한양대의료원 류마티스병원 관절재활의학과 교수
입력 : 2006.03.06 17:1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