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6,356

쓸개주머니 이외에도 생긴 담석 찾는 방법은?

심찬섭 교수의 소화기질환 이야기

건국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심찬섭 교수

쓸개물(담즙)은 간세포에서 만들어져 담낭으로 흘러들어와 저장된다. 음식을 먹으면 이를 소화시키시 위해 담낭이 수축하면서 저장되어 있던 담즙이 담관을 타고 십이지장으로 내려와 섭취한 지방분의 소화를 돕는다.

담석은 담즙이 흐르는 길에 생기는데 쓸개주머니(담낭) 뿐 아니라 간내 담관이나 간외 담관에도 생길 수 있다. 이중 담낭에 생기는 빈도가 가장 높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 군데에 담석이 각기 생길 수도 있고, 두 군데 이상의 장소에 담석이 생길 수도 있다.

담석은 부위에 따라 진단법이 조금 다르다. 간편하고 정확한 방법은 복부초음파검사다. 이 검사법은 몸 안에 검사기구를 넣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간편하고 검사시간도 10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또 담낭뿐 아니라 담관이나 췌장, 간 등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방사선의 노출도 없어 임산부에도 지장이 없으며, 아주 작은 담석도 찾을 수 있고 진단 정확도도 담낭담석인 경우 대개 95~98%로 매우 높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술(CT)이나, 자기공명촬영술(MRI)은 담낭담석보다는 간외담관의 담석이나 폐색 여부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심찬섭 교수의 소화기질환 이야기

생활속에서 쉽게 생길 수 있는 소화기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예방할 수 있는 건강정보를 제공합니다.

건국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심찬섭 교수
건국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 센터장
대한위암학회, 이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회원인사위원회, 위원
대한광역학학회 회장
대한소화기학회, 부회장 역임
대한췌담도연구회, 회장 역임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