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서 안티에이징이 가장 힘든 곳이 어디일까? 필자는 ‘눈’을 가장 먼저 꼽는다. 다양한 인공 장기들이 개발되고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은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노안으로 인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노안을 교정하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돋보기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까운 곳을 볼 때만 꺼내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운동을 할 때는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다초점 안경도 개발되어 있지만 복잡한 렌즈 구조에 적응을 해야 한다는 문제가 남아있고, 도수 차이가 클 경우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안과에서는 노안을 수술로 교정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해왔다. 그 덕분에 레이저를 이용한 노안 교정술(노안라식), 각막렌즈삽입술 등 여러 가지 수술이 개발되었다. 노안·백내장수술 또한 이 범주에 들어간다. 사실상 ‘노안교정수술’이라고 하면 특정한 수술 이름이 아니고, 앞서 말한 이 모든 수술법들을 모아서 말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노안·백내장수술’은 백내장수술을 하면서 특수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 인공수정체는 일반적인 인공수정체와 달리, 첨단 광학 기술을 통해 여러 개의 초점이 맺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를 통해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돋보기 안경 없이도 볼 수 있는 원리이다.
돋보기 안경을 쓰는 것은 다양하고 활동적인 취미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큰 핸디캡이다. 일상생활은 물론 직장생활에서도 크고 작은 불편함을 일으키며, 결국은 사람을 알게 모르게 위축시키게 된다. 노안·백내장수술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중·장년층을 백내장과 돋보기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신감을 회복시키고, 삶의 질을 높여준 것에 있다.
노안은 개개인의 차이가 크다. 그러므로 일괄적인 치료는 불가능하며, 정밀 검진과 의료진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알맞은 교정법을 찾아야 한다. 40대 이후부터는 누구나 노화로 인해 조금씩 시력에 변화가 찾아오기 시작하므로, 1년에 1~2회 정도 정기적으로 안과에서 검진을 받기를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