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의 각종 유해물질이 눈에 들어가면 안구 표면의 각결막 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막을 자극하고 세균이 침투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초기에는 눈이 간지럽거나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까끌함을 느낄 수 있다. 눈물 흘림과 눈충혈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눈 주위가 붓거나 각막상피가 벗겨져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한 대표적인 안질환이 알레르기성 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이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을 감싸고 있는 외부 조직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안질환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결막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 방치하게 되면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막에 각막 궤양이 나타나 시력이 저하 되거나 이차적 결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눈의 흰자를 둘러싸고 있는 결막과 각막에 염증이 생기는 안질환이다. 증상이 심할 경우 각막 외관이 뿌옇게 변하거나 검은자 위 각막까지 염증을 일으킨다. 또한 접촉으로 인한 전염력이 강하고, 잠복기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눈이 평소와 다르게 불편하거나 이물감이 느껴진다면 안과에 내원하여 검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피할 수만은 없는 황사, 평소에 예방하여 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첫째는 안경 착용이다. 렌즈 착용시 황사의 중금속과 먼지가 렌즈 표면에 달라붙어 결막과 각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켜 찰과상을 낼 수 있다. 렌즈를 꼭 착용해야 한다면 더 자주,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안구건조증이 있다면 개인에게 맞는 인공눈물을 처방 받아 수시로 점안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째는 청결이다. 가렵더라도 손으로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오염된 손을 눈에 접촉한다면 눈에 흠집이 생겨 각막염이나 결막염과 같은 안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수시로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어줘야 한다. 눈이 간지럽거나 자극 증상이 있을 경우에도 미지근한 물로 세척하면서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을 권장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