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57누적된 총 기사 -365,823

[오늘의 인사 및 동정] 4월 3일

언론사

입력 : 2025.04.03 16:41

■순천향대부천병원산부인과김태희교수, '경기도지사표창'수상

출처:의사신문
출처:의사신문

김태희순천향대부천병원산부인과교수가지난달29일열린'제79차경기도의사회정기대의원총회'에서'경기도지사표창'을수상했다.

이번표창은김교수가여성건강증진과공공보건정책연구에기여한공로를인정받아수여된것으로,학문적성과뿐아니라사회적으로소외된여성들을위한실질적변화와정책개발에이바지한점이높게평가됐다.

김교수는산부인과전문의로서전문지식과경험을바탕으로고령임산부건강관리정책,임신여군의근무환경개선지침서개발등보건사회분야발전을위한다양한연구와정책실행에앞장서왔다.특히,여성정책원과의공동연구를통해고령임산부를위한정책적대응의기틀을마련했으며,인구보건복지협회'아이사랑상담프로그램'을통해임신부들과직접소통하면서임신출산분야의공공정책개발에도힘을보탰다.

또한'중장년여성의지속적인건강관리를위한항노화연구교류회'를이끌며관련정책및연구기반마련에기여했고,질병관리청으로부터선정된'부천시지역사회중장년여성건강향상을위한영양상담운동영양증진국책사업'을수주해성공적으로수행하는등지역사회건강향상에이바지하고있다.최근에는'부천시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와협업하여재택방문요양사업모델을기반으로한지역사회의료정책개발에도적극참여하고있다.

김태희교수는"그동안공공복지와교육,치안,안전정책이여성의삶에실질적인변화를이끌수있도록노력해왔다.앞으로도부천시민들이수준높은건강증진및질병예방서비스를제공받을수있도록의료현장에서긍정적인활동을이어가겠다"고말했다.

■ 정석원 건국대병원 교수, 대한견주관절국제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출처:의사신문
출처:의사신문

정석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지난달 28~29일 SC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견주관절국제학술대회(KSES 2025)'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발표된 논문 중 학문적 깊이와 임상적 영향력이 가장 큰 논문에 수여되는 것으로, 정석원 교수의 연구는 회전근개 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 교수는 'TGF beta 1 성장인자를 함유한 전자기성 마이크로비드의 표적이동성과 지속 방출성, 그리고 어깨 회전근 개 힘줄 유합에서의 효과(Effect of the TGF beta 1 laden magnetic microbead on the sustained TGF beta 1 delivery on the desired location and rotator cuff healing in a rat rotator cuff repair model)'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는 세포의 증식과 상처 치유,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TGF-β1 성장인자를 전자기성 마이크로비드에 탑재해, 해당 인자가 병변 부위에 정확하게 도달하고 장시간 머무를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동시에 이러한 지속적 전달이 회전근개 파열 부위의 조직 유합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TGF-β1을 함유한 전자기성 마이크로비드는 병변 부위로 정확히 이동해 성장인자를 지속적으로 방출했고, 이를 통해 회전근개 힘줄의 유합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팀은 쥐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조직 회복 과정과 인장강도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단순 약물 또는 성장인자 주입의 한계를 극복하고, 표적 부위에 필요한 인자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에는 성장인자의 확산과 빠른 제거로 인해 치료 효율이 낮았던 반면, 본 연구는 생체재료 기반 정밀 전달 플랫폼을 이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정석원 교수는 "지난 15년간 꾸준히 연구에 매진해 온 것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의학 발전과 환자 치료 성과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의사신문 의사신문 webmaster@doctorstimes.com

  • * Copyright ⓒ 의사신문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의사신문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