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연구팀
[의학신문·일간보사=정우용 기자] 혈액 속 박테리아를 체외 순환장치로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일본 교토대와 고겐테크놀로지스는 공동연구를 통해 항체결합형 양이온 리포좀과 음이온 흡착체를 조합해 혈중 박테리아를 직접 제거하는 새로운 혈액정화기술을 고안했다고 발표했다.
혈중 박테리아는 패혈증 등 심각한 질환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패혈증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연간 1100만명에 이르며새로운 팬데믹이우려되고 있다. 패혈증의 표준치료는 항생물질 투여이지만 부작용이나 내성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Collectron'은 나노크기의 리포좀을 중심으로항체결합함에따라 혈중 박테리아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실험에서는1회 필터링으로 대장균을 거의 100% 제거할 수 있었다. 여과를 마친 소 혈액 실험에서는생리식염수에비해 제거효율은 낮았지만 54%의 대장균을 제거할 수 있었다.
Collectron은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흡착제거할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이 높고 체내에 혼입되어도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항체의 종류를 바꾸는 방법으로다양한 혈액감염증원인물질 제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패혈증이나 혈액감염증 치료 외에 팬데믹 시 병원체 제거 등에도 유망한 점에서감염증 치료에 혁신을 초래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료뿐 아니라 의료 및 산업분야에서 유해물질 흡착회수 및 시약으로도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의학신문
정우용 기자
yong1993@bo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