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최재백 기자] 도코사헥사엔산(DHA)이 고지방 식사로 인한 뇌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HA가 고지방 식사로 인한 뇌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세포 신경과학 프론티어스(Frontiers In Cellular Neuroscience)’에 실렸다.
최근 연구팀은 포화지방이 뇌세포를 손상하는 기전을 조사했다.
동물성 포화지방은 심장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뇌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 결과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식사가 신경염증과 장기 기억력 저하 인지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생쥐와 세포 배양 모델을 활용해 대표적인 동물성 포화지방인 팔미테이트(Palmitate)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오메가3 지방산의 일종인 DHA의 신경 보호 효과를 연구했다.
그들은 팔미테이트와 DHA가 두 가지 뇌세포, BV2 미세아교세포와 HippoE-14 신경세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주목했다. 미세아교세포는 염증을 촉진하는 뇌세포이고, 해마의 신경세포는 기억 및 학습 능력에 중요하다.
동물실험 결과, 고지방 식사는 뇌 손상을 유발해 뇌의 전반적인 퇴행을 유도했고, 세포 분석 결과 DHA는 팔미테이트로 인한 염증을 줄이는 등 포화지방의 해로운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 특히 팔미테이트 산은 미세아교세포와 신경세포의 염증을 촉진해 기억 또는 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예방적인 DHA 복용이 팔미테이트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포화지방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 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했다.
오메가3 지방산, 특히 DHA는 연어와 같은 생선이나 어유 보충제, 조류(algae)에 풍부하다. 전문가들은 적색육을 연어로 대체하고, 버터 대신 카놀라유로 요리하는 등 기존 식사를 건강한 대체 식품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건강한 식습관을 들일 것을 추천했다.
메디컬투데이
최재백
jaebaekcho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