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미경 기자]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도래하면서 주요 대학 의대생들이 복귀하고 있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로 불리는 병원의 의대를 비롯해 상당수의 의대생이 복귀하며 1년 넘게 이어온 집단휴학 사태가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31일 가천대, 건국대, 계명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아주대, 원광대, 한양대 등이 의대생 복귀·등록 신청을 마감한다.
이에 따라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의대생 등록 및 복학 신청을 종료한다.
앞서 지난 7일 정부가 “3월 내 전원 복귀 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을 이어간다며 ‘단대일오’를 굳건히 했다.
그러나 의대 학장·교수진의 간곡한 설득과 동시에 올해는 학칙대로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겹치며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복귀 움직임이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을 맞이한 연세대 의대생들이 ‘일단 등록’으로 입장을 바꾸면서, 서울대 의대 학생회도 복귀로 선회하며 복학이 이뤄졌다.
여기에 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도 합세하며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고, 고려대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부산대 의대생들도 모두 복귀했다.
교육부는 이르면 이번 주 전국 40개 의대의 등록 신청 현황을 취합한 뒤 의대 정원 동결 기준인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한 후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전원의 의미는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복귀율과 별개로 1년여 만에 학생들이 힘들게 돌아온 만큼,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3058명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학생들이 복귀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을 거부하면, 교육부는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058명이 될 수 있다.
메디컬투데이
김미경
sallykim011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