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4누적된 총 기사 -366,259

가을은 성조숙증의 계절

우리 아이 키 크기 프로젝트 365일

하이키한의원/박승찬 원장

어느덧 햇살이 맑게 가슴으로 스며드는 가을이 시작되었다. 진료 사이에 문득 고개를 들어 창밖으로 바라본 하늘은 손을 뻗어보고 싶을 만큼 높고 푸르다. 하지만 이 풍요의 계절 가을에 신체변화로 가슴앓이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 마음 한 편이 아려온다. 가을에 찾아오는 불청객 중에 감기보다 무서운 질병이 우울증이다. 가을 우울증은 급속도로 온도가 내려가고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해지면서 생기는 계절성 우울증이다.
 
일반적인 우울증은 잠을 자기 어렵고 식욕이 줄어드는데 가을 우울증은 오히려 잠을 많이 자고 식욕이 늘어나는 증세를 보인다. 특히 남자보다 여자들에게서 가을 우울증이 더 많이 나타난다. 행복호르몬인 세로토닌의 부족이 원인이다. 세로토닌은 기분을 좋아지게 만드는 뇌 속의 물질인데 가을이 되고 해가 짧아지면 세로토닌이 부족해져 세로토닌 수치가 높은 여성들은 우울증에 쉽게 빠지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우울증이나 스트레스가 성조숙증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이다. 가을 우울증은 햇빛의 양, 즉 일조량의 부족과 관계가 있다. 햇볕을 쬐는 시간이 줄어들며 나타나는 계절 우울증으로 다른 우울증과 달리 식사량이 급격히 늘고 단 음식을 찾게 된다. 따라서 성조숙증이 의심되거나 또래보다 조숙한 아이라면 가을 우울증을 주의해야 한다. 밥맛이 좋다며 너무 잘 먹어 살이 찌거나, 새 학기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 학기 초에 배가 아프다거나 속이 메스껍다며 평소와 다른 신체증상을 호소한다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뜻이다.

우울증에 빠져 활동량이 적어지면  비만이 되기 쉽다. 따라서 아이가 너무 잘 먹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 성조숙증은 너무 잘 먹어 생기는 병이기 때문이다.  특히 여자아이가 비만인 경우 초경이 빨라지고 성조숙증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이 시상하부, 부신, 뇌하수체 등에 작용해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2차 성징을 앞당기기 때문이다. 2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면 초반에는 또래보다 훌쩍 키가 크지만 전체 성장기간이 줄어들어 최종 키가 작아진다. 키뿐만이 아니라 학습능력도 저하된다. 체지방 증가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이때 무기질이 빠져나가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2차 성징이 시작되면 신체변화가 시작되는데 여자아이는 가슴이 발달하게 되고 남자아이는 고환이 커지게 된다. 아직 사춘기가 시작되기에 이른 나이인데도 여자아이의 경우 30kg이 넘으면서 가슴이 나오기 시작하거나, 남자아이의 경우 45kg이 넘으면서 체모가 생기는 등 2차 성징이 보이면 전문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통해서 성조숙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성조숙증에 걸리면 또래들보다 신체성장이 빠른 것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친구관계나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겉도는 경우가 많다. 여자아이들의 경우 어린 나이에 일찍 초경을 시작하면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조기폐경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아이가 우울해 하거나 살이 찌는 계절 우울증 증세를 보일 때 낮 동안 바깥 활동을 늘리면서 운동을 해서 살찌는 것을 방지하면 성조숙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햇볕을 쬐면 비타민D가 생성돼 뇌 속의 세로토닌 분비를 활성화 시킨다. 비타민D는 칼슘의 체내흡수를 도와 성장촉진에도 도움을 준다. 또 적당한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를 줄여 정신적 신체적 만족감을 가져다준다.

/기고자 : 하이키한의원 박승만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아이 키 크기 프로젝트 365일

하이키한의원과 함께하는 건강한 키 성장의 모든것!

하이키한의원 /박승찬 원장
[하이키한의원] 박승찬 원장
대전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박사 취득
현, 대전대학교 비계내과 겸임교수
현, 하이키 네트워크 학술이사
전, 하이키한의원 대전점 대표원장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저서>
엄마! 나도 키가 크고 싶어요
한방으로 끝내는 천식 알레르기
우리아이 키크기 프로젝트 365일
멈추는 아이 vs 자라는 아이
----------------------------------------
[하이키한의원] 윤가영 원장
경희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한의학 박사 과정
경희대 한방병원 전문의 취득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진료원장
----------------------------------------
[하이키한의원] 박승만 원장
대전대 한의대 졸업. 동대학원 박사 취득
현, 하이키한의원 강남본원 대표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