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4누적된 총 기사 -366,259

다가오는 열대야 불면증 이렇게 극복

잠이 인생을 바꾼다

서울스페셜수면의원/한진규 원장

전국 곳곳에서 한낮 최고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불볕더위가 지속되는 등 때 이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올여름 찾아올 폭염과 열대야를 대비한 수면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열대야는 밤의 기온이 섭씨 25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잠들기 좋은 온도는 섭씨 18~20도이기 때문에 열대야 현상이 나타나면 잠을 설치게 된다.

◇ 열대야엔 왜 잠이 안 올까
무더운 여름밤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이유는 외부 온도가 너무 높으면 체내 온도조절 중추를 흥분시켜 그 기온에 적응하기 위해 계속해서 깨어 있으려 하기 때문이다. 수면은 생리적으로 안정이 된 상태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늦은 밤에도 무더위가 지속되면 신체의 열을 식히기 위해 땀을 계속 흘리는 등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돼 잠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체온이 저하되면서 분비되는 수면유도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적어져 잠들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일단 잠이 들었다 하더라도 체온유지가 되지 않아 잠에서 쉽게 깨는 등 숙면을 취하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열대야 현상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상태가 지속되면 피로가 누적되면서 집중력이 떨어져 무기력해지고 두통, 식욕 부진 등이 나타나는 `열대야 증후군`에 시달리게 된다. 이는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잠들기 어려운 열대야는 어른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는 여름이 되면 땀띠, 피부트러블과 과다한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여름 감기 등 여러 가지 질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 여름밤 숙면을 취하려면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수면 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덥다고 밤새 에어컨을 켜는 것보다는 적정한 실내온도를 맞춘 뒤 자기 전에 끄는 것이 좋으며 잠자리에 들기 전 충분한 휴식과 함께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해 신체온도를 수면에 좋은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된다.

한편 늦은 밤 열대야를 이겨내기 위해 시원한 맥주와 고칼로리의 야식을 먹는 경우가 많지만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면 탈수증세가 나타면서 수면 중 갈증을 느끼고 화장실을 자주 들락거리게 된다. 또한 복통, 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전에는 삼가는 것이 좋다. 대부분 열대야 현상은 열흘 정도면 수그러들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만큼은 충분한 영양섭취와 최적의 수면관리에 신경 써 불면증을 극복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기고자 :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잠이 인생을 바꾼다

한진규원장의 올바른 '잠'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과 전공의 수료
국립나주정신병원 신경과 과장
국립보건원 뇌신경질환과 연구원
미국 클리브랜드 클리닉 수면 전임의
미국 수면전문의 자격취득-신경과 최초
싱가폴 수면학교 강사 역임
고려대학교 신경과 교수 역임
대한수면연구회 학술이사
한국수면학회 이사
현 서울수면센타 소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