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27누적된 총 기사 -365,642

노인의 적 ‘파킨슨병’엔 어떤 약을 쓸까?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박억숭 과장

파킨슨병은 나이 든 사람에게 많이 생겨 ‘노인의 적’이라 불리는 질병이다. 파킨슨병도 약으로 관리가 가능한데, 파킨슨병의 병리 기전을 알면 어떤 약을 쓰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은 뇌의 흑색질(substantia nigra)이라는 부위가 변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도파민(dopamine)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도 줄어들어 운동장애가 나타난다.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 일부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완치는 어렵다. 중추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과 도파민 균형’은 인간의 움직임을 좌우한다. 사실 대뇌피질, 시상에서 나오는 신경은 뇌의 바닥 부위에서 아세틸콜린을 유리시켜 운동을 시작하고 조절한다.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서 억제성으로 작용, 콜린성 신경(부교감신경)의 과도한 흥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가면 얼굴(masked face), 웅크린 자세, 느린 수의운동, 떨림과 경직, 운동 감소(brady kinesia)와 관련된 ‘촘촘 걸음’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진단은 영상 검사에서 중뇌 흑색질의 변색이 관찰되고, 조직학적으로 흑색질 신경세포 내에 밝은 분홍색으로 염색된 단백질 응집체인 레비 소체(Lewy body)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 약 10~15%는 나이가 들면서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



파킨슨병 치료
치료 목표는 먹기, 걷기, 씻기, 옷 입기 등 ‘일상생활 유지’하기며 더 나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파민과 아세틸콜린 균형 유지가 중요하다. 도파민을 증가시키는 약으로는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 MAO-B 억제제, COMT 억제제 등이 있다. 파킨슨 환자가 손을 떨면서 ‘도파주세요!’(도와주세요)를 생각하면 쉽다. 보통은 도파민 전구체인 levodopa를 투여한다. 초기에는 아세틸콜린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benztropine 같은 항콜린제-항무스카린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