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보다 시력교정술 안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중적인 인식과 접근성에 변화가 생겼다. 혹시나 부작용이 생길까 우려하여 섣불리 수술을 받지 못했던 때와 달리, 의학기술의 진보와 연구 덕분에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낮아지고, 수술의 대중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에 따라 활동량이 많고 외적인 이미지에 관심이 높은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시력교정술에 높은 수요를 보인다. 이들은 군인이나 직장인 등 길게 휴가를 내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라, 안정성과 함께 '빠른 회복'에 중점을 두는 성향을 보인다.
그런 점에서 스마일수술은 휴가를 나온 군인뿐 아니라, 곧 군에 입대하는 이들도 선호하는 수술로 알려져 있다. 스마일 수술은 스마일라식, 스마일프로가 있는데 빠른 회복과 높은 안정성을 지닌 차세대 시력교정술로 손꼽힌다. 수술에는 독일 자이스사가 개발한 '비쥬맥스 500’, ‘비쥬맥스 800’이 사용되며 각막을 매우 미세한 크기로 절개한 후 각막 실질에 펨토초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각막 절편을 만드는 라식이나 각막상피를 제거하는 라섹과 달리, 각막을 최소한으로 절개하여 각막 실질에만 레이저를 조사하기 때문에 각막 손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최소 절개 덕분에 회복되어야 하는 부위가 적은 만큼, 외부 충격에도 강하고 안구건조증 등의 부작용 발생 위험도 낮다. 기존 수술에 비해 통증도 적은 편이라 수술 다음 날부터 대부분의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수술 안정성을 입증하듯, 현재까지 전 세계 800만, 국내 130만 건의 스마일라식이 시행됐으며 시력교정술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스마일라식은 미국 FDA 승인과 미군 공식 시력교정술로 지정되기도 했다.
다만, 수술의 장점이 다양하다고 해서 수술 과정이 간단한 것은 아니다. 미세한 크기의 절개창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교한 수술인 만큼 의료진의 숙련도가 수술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크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특히, 각막 실질 분리 작업은 스마일라식의 핵심 과정으로, 집도의의 집중력과 실력이 수술 후 시력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스마일수술시 각막조직의 결합력을 강화해 근시퇴행이나 원추각막등의 부작용을 줄이는 각막강화술과 눈비빔과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외부 환경에도 각막을 보호하는 안구건조증케어를 함께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의료진과 병원을 선택할 때는 집도의의 임상경험이 풍부한지, 병원의 시스템이 체계적인지 등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 의료진의 실력을 판단할 때는 '스마일닥터 인증'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는 스마일라식을 개발한 독일 자이스사에서 풍부한 수술 경험과 장비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한 의료진에게 부여하는 공식 인증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천현철 원장의 <오팔청춘 눈건강>
- 스마일라식에 이어 등장한 스마일프로, 달라진 점은?
- 20대 스마일라식부터 50·60대 노안·백내장 수술까지, 시력의 질이 핵심
- 스마일라식과 로우에너지 스마일라식, 어떻게 다를까?
- 봄철 불청객 '안구건조증', 시력교정술로 해결 가능할까?
- 40~50대 라식, 노안과 근∙난시 함께 고려한 시력교정술 필요
- 개강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스마일라식, 이유는?
- 라식·라섹 1세대의 백내장 수술 가이드… ‘다초점 렌즈’를 활용한 수술 고려
- 봄마다 기승인 안구건조증, 시력교정술과 관계 있을까?
- 퍼스널아이즈 라식으로 알아보는 시력 2.0의 시대
- 국내 스마일 라식, 무려 150만 건 시행… 가능한 이유는?
- 스마일라식, 전 세계 1000만 케이스 달성… 역사 되짚어 보면
- 시력교정술 강국 대한민국, ‘스마일 기술’ 세계에 입증
- 최신 시력교정술 스마일프로, 수술 장비 장점은?
- 라섹 통증과 회복 기간, 수술 테크닉에 따라 줄어들 수 있어
- 스마일프로, 스마일라식보다 업그레이드된 점은?
- 시력교정술 점유율 1위 스마일라식, 짧은 회복 기간이 중요한 이유는?
- 차세대 시력교정술 스마일라식, 회복 기간 짧을수록 좋은 이유
- 각막 손상 적은 ‘로우에너지’ 스마일라식, 원리는?
- 시력교정술 대표 부작용 안구건조증, 원인과 예방법은?
- 시력교정술 부작용 안구건조증, 발생 가능성 줄이려면?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