占쎌쥙�э옙�낆릇�좎럥�뀐옙�용쐻占쎌늿��N 24占쎌쥙�⑵짆袁ο옙�녹삕 占쎌쥙猷욑옙占� 占쎌쥙�∽옙占쎈뭄占쎈벊�뺧옙醫묒삕 占썬꺁�뉛옙節놁쒜�좑옙 - 54癲꾧퀗��占쏙옙 占쎌쥙�∽옙�먯삕占쎌눘�뺧옙醫묒삕 �좎떥�곗굲 占썬꺁�뉛옙節놁쒜�좑옙 -365,877癲꾧퀗��占쏙옙

올 추석엔 ‘명절증후군’ 허리디스크 피하기를

오직 당신의 척추, 관절을 위해!



민족 대 명절 중 하나, 추석이 다가오고 있다. 무더위가 한발 물러가고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며 고향을 찾거나 휴가를 떠나는 이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명절증후군이란 설날, 추석과 같은 명절 전후에 나타나는 정신적, 육체적 피로로 인한 신체적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좁은 차에서 장시간 운전, 같은 자세로 오랜 시간 요리하는 것은 척추에 무리가 가 디스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살펴보면 2017년부터 2021년 기준 허리디스크 환자는 매년 약 200만 명 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난해 추석 전후 환자 수가 9월 359,961명에서 10월 362,199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 작년뿐만 아니라 매년 추석 명절이 끝나면 허리 디스크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앉은 자세는 체중이 다리로 분산되지 못하고 허리에 전달되는 하중이 서 있을 때보다 2배 정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명절에는 장시간 같은 자세로 명절 음식 부침개, 전 등을 만들기 위해 방바닥에 쪼그려 앉아서 요리하거나 장시간 오래 운전을 하게 되면 목과 허리에 긴장 상태가 유지되어 추간판 내부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명절 이후 늘어난 뱃살도 허리디스크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복부의 비만은 지속해서 척추에 부담을 주게 되어 척추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허리디스크의 정식 명칭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대표적인 허리질환 중 하나이다.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며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외부 충격이나 압력(하중), 노화, 비만 등의 원인으로 (섬유륜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 수핵이 탈출해 주변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통증과 엉덩이, 다리의 방사통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치료 방법은 통증과 질환의 정도에 따라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신경성형술, 신경차단술 등의 비수술적인 방법부터 단일공 내시경 레이저 수술, 단일공 내시경 디스크 수술 등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수술이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심한 통증과 감각 이상, 근력 약화, 대소변 장애가 나타나는 등의 증상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고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단일공 내시경 레이저 수술은 특수 제작된 초소형 척추내시경을 허리에 삽입하여 직접 병변부위를 확인하며 레이저를 이용해 치료하는 수술법이다. 척추의 좁아진 신경 부위를 넓혀 허리 및 하지 통증을 치료하는 근본적인 치료 방법으로 재발률이 낮으며 부분마취로 진행되어 고령 환자들이나 만성 질환자들도 수술 부담이 적다. 그리고 단일공 내시경 디스크 수술은 약 7mm 내외의 극소 절개를 통해 특수 제작 미세 내시경을 삽입하여 돌출된 디스크를 직접 확인하고 주변 조직 손상 없이 병변 부위만 제거할 방법으로 이 또한 부분마취로 진행하여 고령 환자들이나 만성 질환자들도 수술 부담이 적다. 

허리디스크 명절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족, 친지와 가사 노동량을 분배하여 휴식을 충분히 취하고, 척추 압박에 따른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음식을 만들 때는 가급적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식탁에서 요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리고 허리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밀착하여 앉고, 허리와 목을 곧게 펴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운전대를 잡았을 때 팔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 추석 연휴 장시간 운전을 할 때는 1~2시간마다 휴게소에 들러 휴식과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으므로, 연휴 이후에도 목과 허리디스크 통증이 지속한다면 방치하지 말고 빠르게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약물치료, 도수치료, 신경성형술 등의 비수술 요법으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오직 당신의 척추, 관절을 위해!

건강한 척추, 관절을 만들기 위한 예방법과 증상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법을 알려드립니다. 건강한 척추, 관절 만들기 함께 시작해보아요.

동탄시티병원 /신재흥 병원장
학력
경희대학교 의학박사
경희대학교 의학석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경력
경희대학교 의무부총장
경희대학교 의료원장
경희의료원 원장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원장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협진진료처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기획진료부원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척추센터장 역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척추 전임의

학술활동
대한정형외과학회 학회장
세계척추측만증학회 (SRS)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APOA)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사무총장
아시아태평양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회장
아시아태평양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사무총장
대한정형외과학회 이사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
대한척추외과학회 회장
대한척추외과학회 학술-의료 평가위원회 총무
미국 미네소타대학 척추측만증센터 연구원
미국 미네소타대학 Twin Cities Medical School 연수
(전) 아시아태평양 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고문
(전)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APOA) 척추분과 평의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개원의 및 정형의학발전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관련학회조정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의료평가윤리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기획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국문학회지편집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심사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국문학회지편집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고시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자산관리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회제도연구위원회 위원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제도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최소침습척추치료연구학회 위원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준비위원회 위원
(전) 대한골절학회 평의원
(전) 대한골절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
국제정형외과 및 외상학회 (SICOT)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자문위원회 위원

[주요논문]
1.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 학회(APOA) 2009년 논문 영문 발표
2. 아시아태평양 미세척추수술학회(PASMISS) 2009년 논문 영문 발표
3.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THE SPINE”저널에 논문 영문 발표
“경추부 신경관과 추체병변 변화의 PROCESS”
4. 2008.03 광범위 감압술 및 후방연성고정술의 임상결과
5. 2008.05 요추 퇴행성 후만증의 교정술 후 진행되는 임상 결과
6. 2008.08 경추 인공디스크술에 따른 생체역학적 특성
7. 2009.01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흉요추부 후만 변형의 골유합 결과
8. Radiographic Changes of Adjacent Upper Segment Performed Short Segmental Lumbosacral Fusion-Does Total Laminectomy Influence Adjacent Upper
9. Factors Confluencing the Result of Percutaneous Balloon Kyphoplasty in Osteoporotic Thoracolumbar Compression Fracture
10. Evaluation of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Facet on the Sagittal Plane in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Calcaneal Fractures
11. Posterior Surgery of Neurologically Compromised Osteoporotic Kyphosis -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and Stabilization using Titanium Mesh
12.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with Selective Wide Decompression for Multilevel Lumbar Stenosis
  • Copyright HEALTHCHOSUN.COM

占썬끉�녶첎占� 占쎈똻��



 
인기뉴스 의료계뉴스 최신뉴스
 
 
 
 
 
 
 
 


占쎌쥙�э옙�낆릇�좎럥�뀐옙�용쐻占쏙옙�좎룞�� 占쎌쥙�э옙�욱꼧占쎌쥙�ο㎖琉꾩삕�좑옙 占쎌쥙�ο옙�쇱삕占쎌늿�뺧옙醫묒삕 占쎌쥙猷욑옙�용쐻占쎌늿�� 占쎌쥙猷욑옙�용쐻占쎈뜆�ゅ뜝�숈삕 占쎄쑴猷딉옙占� 占쎈벚�↑린�쎌삕�좑옙 癲ル슪�숁뤃�묒삕占쏙옙�뺧옙醫묒삕 占쎌쥙�ν걫嶺뚯빖��옙�뗭삕癰궽블뀬占쎌쥙猷욑옙占� 占쎌쥙�ν걫�좎룞�� 占썬꺂占쎈Ŋ�뺧옙醫롫윥占쎌궪�숅넫臾믪굲占쎌쥜�� 占쎌쥙�ο옙�낆삕占쎌뼚異븝옙醫묒삕,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э옙�낆릇�좎럥�뀐옙�용쐻占쏙옙�좎룞�� 占쎌쥙�ζ뤃�묒삕影��낆삕占썩뫁�� 占쎌쥙�ワ옙�먮쐻�좑옙 占쎌쥙猷욑옙占� 占쎌쥙�ο옙�낆삕占쎈챷�뺝뜝�덈쐞�됵옙.

(占쎈굝�わ옙占�)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쏆삕繹먮씮�뺧옙醫묒삕 濚욌꼬�댄꺁�좎룞�� 占쎌쥙�ο㎖猷앺렭占쎈끃�뺧옙醫롫쑞占쎈Ŀ�앭뜝占� 21占썬꺂占쎈Ŋ�� 30 占쎈툕�쀯옙節덈빝�얜벡�뺝뜝�꾪�→쾮戮⑸쐻占쎌늿�� 占쎌쥙�ζ뤃�얠Þ占쎌쥙猷욑옙占� | �좎럩堉뷂㎖琉꾩삕�좑옙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