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아내와 작은 카페를 운영하는 성 씨(61세, 남성)는 지난달 환갑을 맞아 안과를 찾았다가 뜻밖의 말을 들었다. 검진 결과에서 백내장 초기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평소 노안 증상 외에는 별다른 불편을 느끼지 못했던 성 씨는 그날부터 통원치료를 받으며 의사와 수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성 씨의 사례처럼 노안 환자 중에서 뒤늦게 백내장을 발견해 치료를 받거나, 급하게 수술 날짜를 잡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노안과 초기 증상이 비슷하고, 눈에 크게 불편한 증상이 생기지 않는 이상 안과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내장은 노안 수준으로 생각할 질환이 아니다. 백내장은 카메라에서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 조직에 혼탁이 일어나 발병한다. 이 혼탁으로 인해 수정체가 뿌옇게 변하면서 시력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백내장 증상에는 시력 저하와 앞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 빛 퍼짐 현상, 복시 현상 등이 있다. 개인차가 있지만, 백내장 초기에는 경미한 시력 이상만 있을 뿐 통증 등의 임상적 양상을 느끼기 어렵고, 노안이 심해진 것이라 단순하게 생각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물론, 백내장이 생겼다고 해서 바로 수술을 할 필요는 없다. 초기에는 돋보기 안경을 착용하고 약물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추는 시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상당히 진행이 된 상황이라면 수술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백내장 수술에는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있다. 혼탁이 발생한 수정체를 제거한 뒤 그 자리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국소 점안마취 후 각막을 미세한 크기로 절개한 후 혼탁이 생긴 수정체 핵을 잘게 부숴 꺼내게 된다. 그다음 인공수정체를 수정체 주머니에 위치시켜 수술을 마무리한다.
다초점 인공수정체에는 동심원 홈이 있어 먼 거리, 중간 거리, 가까운 거리에 모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노안이나 난시 등의 증상에 대한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수술 후 별도의 보조기구 착용도 필요 없다. 전문의들은 인공수정체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수술 전, 정확한 눈 상태와 직업, 기저질환 여부를 고려해 가장 적절한 인공수정체를 선택하는 것이 수술의 관건이다.
백내장의 경우, 단순 노안이라 방치할 경우 치료 시기가 길어지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는 일이 중요하다. 치료나 수술 타이밍을 놓치면 심할 경우, 실명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40대 때부터는 안과 정기 검진을 받는 게 좋다. 만약 백내장 수술을 계획 중이라면, 병원이 체계적인 검사, 상담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인공수정체 제품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있는지, 의료진의 수술 경험이 풍부한지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