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6,356

흉살, 임시방편보다 근본 치료가 중요한 이유

희망과 절망사이-성형수술 부작용, 흉살

지힐링스퀘어의원/홍승혁 대표원장

얼마 전, 흉살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던 한 남성환자분이 해맑은 미소를 처음 보여주셨다. 여자친구가 생겼다는 기쁜 소식을 알려주시면서 말이다. 요즘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다양한 시술들이 진행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을 겪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그 중 가장 흔하게 겪는 부작용이 바로 `흉살` 이다.

예를 들면 지방이식수술은 자신의 지방을 주입하는 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피부 컨디션을 고려치 않은 과도한 지방 주입으로 울퉁불퉁해진 피부, 잘 안 빠지는 붓기, 과도하게 증식된 조직, 울퉁불퉁해진 피부, 단단하게 굳어지거나 섬유화된 조직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같은 부작용 증상을 ‘흉살(흉터조직, scar tissue)’이라고 하는데,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점 때문에 수술 후 부기와의 혼동으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인위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미세순환에 장애가 생겨 지방이 뭉치거나, 노폐물 축적으로 새로운 피부 지방 조직이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섬유질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피부조직이 변성되어 딱딱하게 석회화되기도 한다. 이런 흉살은 얼굴 근육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피부 조직이 균일하게 보이는 것을 방해한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지방이식 외에도 다양한 성형수술이나 시술 후 불편함을 호소하며 병원을찾으나 이 증상이 부작용, 즉 흉살인 점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무작정 좋아지길 기다리거나 무분별한 흉살제거를 위한 재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사례가 있을 수 있고 오히려 수술 전보다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오랜 기간 고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충분히 따져본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흉살은 외관상 미적인 부작용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 대인기피증이나 우울증까지 생길 수 있는 문제이다. 장기간 오랜 스트레스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어려운 분들이 적지 않다. 때문에 무분별한 임시방편의 해결방안보다는 흉살을 인지한 시점에 전문적인 치료 기관에서 흉살을 제거하고 완화시키는 치료를 가급적 빨리 받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다양한 성형수술들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흉살의 부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페이스뿐만아니라 바디에도 흉살은 생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의 흉살 단계에 따라 맞춤형 치치료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흉살 부위뿐만 아니라 흉살 주변 조직의 순환 개선과 조직 재생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 치료에 중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부작용이 없고 절개나 수술 없이 치료가 되는 것이 더욱 도움이 될 수 있겠다. 흉살을 부드럽게 완화시키고 부기를 감소시켜 수술이나 시술 전 본인의 원래 피부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치료가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희망과 절망사이-성형수술 부작용, 흉살

수술없이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는 인아웃뷰티프로그램을 다룰 예정입니다. 시대에 따른 미와 건강, 아름다움의 트렌드에 맞춰 피부, 체형시술을 설명하고, 이런 시술이나 수술부작용중 하나인 흉살에 관련된 이야기

지힐링스퀘어의원 /홍승혁 대표원장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원 졸업
경희의료운 전공의 과정 수료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학위 취득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학위 취득

현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비만체형 의학회 정회원
대한메조세라피 학회 정회원
대한노인의학회 노인병 전문의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협력병원장
건국대학교 병원 협력병원장
대한의학레이저학회 정회원
Member od Union Internationale de Medicine Esthetique
대한피부미용학회 회원
대한항노화학회 정회원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 회원
한국피부장벽학회 회원
국제레이져의학회 정회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