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연골판은 무릎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유연한 다리운동을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릎 연골판이 파열되면 무릎 사이의 윤활유 역할을 할 수 없어 뼈끼리 부딪히게 되고, 무릎에 통증이 발생한다.
무릎 연골판이 파열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무릎이 점점 붓거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현상이 있다. 또 앉았다 일어날 때 혹은 갑자기 자세를 바꿀 때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들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뼈끼리 부딪치기 때문에 가끔 관절을 움직일 때 소리가 나기도 한다.
정밀검사를 통해 무릎 연골판 파열로 확진이 되면 치료에 들어가게 되는데, 모든 질환이 마찬가지겠지만 이 역시 환자의 상태와 다친 정도, 형태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연골판의 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고 통증이 경미할 경우에는 우선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를 실시하게 된다. 이 때, 비수술 치료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켜보게 되는데 꾸준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통증이 심해진다면 주사치료를 진행한다. 하지만 연골판 파열이 심한 경우나 증상이 더 악화된 경우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 봉합술 등의 수술 치료를 고려할 수 밖에 없다.
평소 과격한 운동, 무리한 운동 등의 원인으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무릎 연골판 파열은 모든 연령층에서 볼 수 있는 질환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나이가 들면서 무릎 연골판이 약해지기 때문에 노인층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났을 초기에는 통증이 경미하여 단순히 무릎이 붓는 정도로만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나, 무릎 연골판은 한 번 손상이 되면 자연치유가 거의 불가능하다. 때문에 계속 방치할 경우 근육량 감소나 퇴행성 관절염, 무릎 관절 내 연골 손상 등의 위험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고자 : 본브릿지병원 전문의 정종원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