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1누적된 총 기사 -367,403

가장 뒤쪽 어금니 살리기 - 사랑니로 인한 어금니의 수난

윤창 원장의 건강한 치아로 맛있는 세상을!

미르치과/윤창 원장

 

가장 뒤쪽 어금니 살리기 - 사랑니로 인한 어금니의 수난

사랑니는 맨 뒤에 자리 잡고 있는 어금니입니다. 근래에는 부드러운 음식 위주의 식생활 변화와 턱 운동의 감소 또는 약화 등으로 하악골이 점점 작아지고, 모양이 변화하면서 사랑니가 나올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점점 퇴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사랑니가 없는 경우들도 종종 있지만 사랑니가 나오더라도 공간 부족으로  반듯이 나지 못하고 턱뼈 속에 수평 또는 수직 등 여러 위치로 매복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런 사랑니들은 특별히 불편한 것이 없으면 그냥 방치하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나중에 충치, 잇몸 질환, 낭종, 골수염 등과 같은 매우 곤란한 상황을 만나게 됩니다.

그래서 사랑니는 다른 치아들을 관리하고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뽑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듯이 잘 나있는 사랑니라 하더라도 치아 중에서 가장 늦게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사랑니는 충치가 잘 생기고 주위의 잇몸에 염증이 많이 생깁니다. 그 이유는 제일 안쪽에 자리 잡고 있어서 칫솔질이 하기 힘들고 관리가 잘 되지 않아서 충치도 잘 생기고 잇몸에 염증도 자주 발생합니다.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답니다.

특히 잘못 난 사랑니로 인해 사랑니 앞에 위치한 어금니의 뒤쪽에 충치가 생기는 경우들을 많이 봅니다. 가볍게 충치치료로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충치가 심한 경우는 신경치료와 보철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고 심지어는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까지도 있습니다. 이것이 사랑니를 제때 뽑아주지 않아 생기는 일이라면 그 대가가 너무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환자 분들의 하소연은 개인 치과에서 뽑아주지 않고 큰 병원 가라고 해서 뽑는 시기를 놓쳐 이런 상황까지 된 경우들이 많습니다. 사랑니 발치는 위험성도 높고 부작용도 많기 때문에 일반 개인치과에서 쉽게 치료하기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방치하게 되면 그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모두 본인이 책임을 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제대로 나지 않은 사랑니는 예방 차원에서 뽑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결혼과 임신을 계획하거나 입대를 앞두거나, 해외여행이나 유학, 큰 시험을 대비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미리미리 검사를 받고 치료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최근에는 사랑니와 같이 필요 없는 치아를 뽑아서 버리는 것이 아니고 이를 재처리해서 나중에 임플란트와 같은 시술을 할 때 필요한 뼈 이식 재료로 재사용이 가능한 방법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습니다. 이제 사랑니는 입 안에 놔두지 말고 뽑아서 뼈 이식 재료로 보관해서 가지고 있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광주미르치과병원 / 윤창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윤창 원장의 건강한 치아로 맛있는 세상을!

치과의사로 진료하면서 치료를 해 준 환자로부터 “이가 아프지 않아 밥을 먹을 때마다 즐겁다. 맛있게 먹는 것이 이렇게 행복한 줄 몰랐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가 가장 보람 있습니다. 이처럼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이 튼튼한 치아입니다. 평균 연령이 높아지고 경제적인 풍요를 누리면서 큰 트렌드로 자리 잡은 삶의 질과 웰빙의 중심에는 건강한 잇몸과 치아가 있습니다. 어떻게 관리하고 치료해야 맛있는 세상을 누릴 수 있는지 치과의사들만의 비밀 이야기를 지금 공개합니다.

미르치과 /윤창 원장
-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 전남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존과 수료
- 전남대학교 치의학 박사
- 대한치과 보존학회 평생회원
- 대한치과 근관치료학회 평생회원
- 대한치과 보존학회 인정의
-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임상 외래교수 대표
- 빛고을 임상치의학 연구소 근관치료연수회 Director
- 한국 리더쉽 센터 Facilitator
- 광주미르치과병원 대표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