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5누적된 총 기사 -365,685

아이리드비엠에스, 美 심장학회서 심장질환 신약물질 공개

새 기전 ‘CXCR7 작용제’ 심부전 모델 연구서 효능·약물 경쟁력 확인

언론사

입력 : 2025.04.01 11:01

[의학신문·일간보사=김정일 기자]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아이리드비엠에스(대표 이재준)가 미국심장학회(ACC,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서 자사의 심장 질환 분야 신약 후보물질을 공개했다고 1일 밝혔다.

'ACC'는 심혈관 분야 연구 및 치료법 개발, 가이드라인 제공 등을 주도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심장학회로, 올해 행사는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됐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자체 개발 중인 심장 질환 혁신 신약 후보물질 'IL21120033'과 관련한 비임상 연구 성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학회의 'Moderate Poster Session'에 선정돼 중요 주제 중 하나로 다뤄졌다.

아이리드비엠에스에 따르면, 'IL21120033'은 CXCR7(C-X-C chemokine receptor 7) 작용제 기전의 저분자 화합물로 심부전 동물 연구 모델에서 기존 치료제(사쿠비트릴·발사르탄 제제) 대비 우수한 심박출량 개선 및 심장 섬유화 억제 효과를 보이는 등 경쟁력과 차별점을 확인했다.

비임상 연구 결과 'IL21120033'은 좌심실의 경색 부위를 현저히 축소시켰으며, 심장 손상 지표인 CK-MB3(creatine kinase-MB3)과 cTnI(cardiac troponin I) 수치도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박출량 증가와 더불어 염증 및 섬유화 완화 효과도 관찰됐다.

아이리드비엠에스 관계자는 "CXCR7은 심장에 허혈이나 손상 등의 발생 시 심장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CXCR7 작용제 방식의 저분자 화합물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통해 다양한 심장 질환에 활용할 수 있는 약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IL21120033'과 관련한 앞선 연구들을 통해 허혈성 심질환, 부정맥, 심장 마비 등 섬유화로 기인한 심장 질환을 치료하는 혁신 신약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임상개발 진행을 위한 GLP 시험, IND 승인 신청 등 제반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의학신문 김정일 기자 jikim@bosa.co.kr

  • * Copyright ⓒ 의학신문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의학신문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