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미경 기자]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20년이 되지 않아 급여가 삭감된 노령연금 수급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그중에서도 여성 수급자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이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19년인 ‘감액노령연금’ 수급자는 2014년 79만444명에서 2024년 258만9733명으로 10년 사이 약 3.3배 증가했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 중 감액노령연금 수급자의 비율도 같은 기간 27.2%에서 44.0%로 상승했다. 최근 수년간 비율을 연도별로 보면 2020년 41.0%, 2021년 42.4%, 2022년 43.6%, 2023년 43.6%, 2024년 44.0%로, 비중이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여성 수급자의 증가세가 두드려졌는데, 2020년 41.9%였던 여성 비율은 올해 처음으로 50.3%를 기록했다.
지난해 여성 감액노령연금 수급자 중 매월 받는 돈이 40만원이 안 되는 저급여 수급자는 70.5%였다. 반면 남성 감액노령연금 수급자 중 매월 40만원 미만을 받는 경우는 34.4%에 불과했다. 이는 감액노령연금 수급자 내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열악한 급여를 받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여성의 가입 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출산 크레디트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출산 크레디트는 연금 수급 시점에 부여돼 대부분 남성이 혜택을 받고 있으며 실제 여성 수혜자는 2%에 불과하다.
메디컬투데이
김미경
sallykim011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