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성조숙증, 한방으로 치료 예방 가능
최근 초등학교 1~2학년의 어린 딸이 갑자기 유선이 발달하고 젖멍울이 잡히거나 3~4학년 때 갑자기 초경을 하여 깜짝 놀라 한의원에 방문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지난 5월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가 2006년 6400여명에서 2010년 2만8000여명으로 약 4.4배 늘었다고 한다.
성조숙증이란 여아의 경우 만 8살 이전에 성호르몬이 분비되어 가슴이 나오거나 만 9살 6개월 이전에 생리를 시작하는 경우, 남아는 만 9살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경우를 말한다. 여아에게 훨씬 더 많아 딸을 가진 엄마들은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춘기가 일찍 오면 당시에는 잘 크는 것처럼 보이지만 최종키는 작아질 수 있다. 초경을 하고 나면 키성장도 제한적이다. 성장판이 닫히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또 정신적으로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맞게 되는 2차성징과 친구들과 다른 몸 때문에 놀림을 받는 등 2차적인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본원의 성장클리닉에서는 율무 강황 의이인 등 천연 한약재로 구성된 조경성장탕으로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하고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촉진하여 성조숙증 치료를 하고 있다. 또한 성조숙증의 원인을 찾아서 개선할 수 있는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집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성장치료 침을 이용하여 초경을 늦추고 아이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성조숙증이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영양과잉으로 인한 비만이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이라는 물질이 여성호르몬을 자극해서 사춘기를 빨라지게 하는 것이다. 그 외 환경호르몬 증가에 따른 내분비계 교란, 학업 스트레스, 인터넷 등 미디어를 통한 성적자극도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아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에 키 140㎝, 몸무게 31㎏ 무렵 가슴에 멍울이 잡히기 시작하고 이후 2년간 13㎝가량 자라 초경을 시작, 대략 5~8㎝ 더 자라고 성장이 멈추는 과정을 정상적인 성장 과정으로 본다. 이보다 빨리 혹은 키가 작은 상태에서 여성호르몬이 분비가 되고 사춘기 현상이 진행이 된다면 성조숙증이 아니더라도 검사와 치료를 받아 보아야 한다.
치료는 소아비만을 치료하면서 성호르몬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둔다. 성호르몬의 분비와 작용을 억제해 2차 성징의 진행과 골격계의 성숙을 늦추는 것. 이를 놓칠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성장 가능한 키보다 작아질 수 있어 빠른 진단과 대처가 요구된다.
성조숙증은 예방이 가능하다. 가장 중요한 것이 체중관리이다. 소아비만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각종 알종류, 새우 게와 같은 갑각류, 내장고기와 같은 콜레스테롤이 높은 음식과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은 조심해야 한다. 각종 보양식품이나 건강식품, 이소플라본이 많이 함유된 콩제품도 주의해야 한다. 화학조미료, 인공감미료, 플라스틱 제품도 가능하면 덜 사용해야 한다. 매일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운동을 하면 환경호르몬이 땀으로 배출되어 성조숙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노력에도 성조숙증이 의심되고 걱정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하이키한의원 성장클리닉 원장 박승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