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숙면을 취하기 힘들거나 수면 중 자꾸 깨어나는‘불면증’환자의 경우 50대 중년여성이 가장 많고, 수면제 복용도 심각한 수준으로 이에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왜 중년여성에게서 불면증이 많이 나타나는 것일까? 나이가 들면 활동량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수면 요구량도 줄어들게 되는데 50대 이상의 경우 활동량이 줄어 덜 자게 되는 생리적인 적응 현상을 들 수 있다. 또 운동과 같은 보완적인 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수면 욕구가 더 줄어들어 불면증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중년여성의 경우 일단 폐경기 시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호르몬 발란스가 많이 깨지고 그로 인해서 불면 현상이 증폭될 수 있고, 스트레스도 많이 증가되는 시점이므로 불면증이 더 확대된다.
서울수면센터가 지난 2005년 만성 불면증을 주 증상으로 3개월 이상 수면제를 복용한 환자 235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결과 만성불면증으로 수면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비율은 남자 42% 여자 58%로 여자가 남자 보다 16% 정도 높았다.
연령별 비율도 남자일 경우 30세 이후 연령별로 큰 변화가 없지만 여자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 또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0대 여성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7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불면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20만7000명에서 2011년 38만명으로 5년간 약 17만6000명(8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면증 진료인원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남성이 37.7%, 여성이 62.3%로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약 1.7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불면증과 같은 수면장애는 정상적인 생활리듬에 악영향을 미쳐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 이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이를 악화시키거나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어 불면증에 시달린다면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불면증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의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과도한 낮잠을 피하고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매일 햇빛을 쪼이는 것이 수면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불면증의 치료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른데 비기질성 불면증의 경우 환자의 특성에 따라 수면제, 항우울제 등을 처방받게 된다.
/기고자 :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