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에 비해 마른아이, 어찌할까요?
“우리 큰 아이는 초등학교 6학년이고 158mc에 32kg입니다. 어릴 적부터 유독 살이 안찌는 아이였는데 며칠 전부터 계속해서 배가 아프고 토할 것 같고 어지럽다고 합니다. 너무 말라서 그런 건 아닌지…, 살 좀 찌게 해주고 싶습니다. 딸아이 체질이 찬 편이고, 항상 손과 발이 축축합니다.”
마른 아이들은 소화흡수력이 떨어진 경우가 많고, 장운동이 약해서 변이 무르거나 설사를 하는 때가 많으며, 반대로 변비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마른 아이는 위와 장이 약한 체질이므로 위장을 튼튼히 해주어야 합니다.
하나, 운동을 시킵니다.
마른 아이는 혈액순환이 좋지 않고 근육이 빈약하므로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력을 단련 시켜주면 위장의 흡수력도 좋아지고 식욕도 좋아지면서 자연히 체중도 조금씩 붙게 됩니다. 수영, 탁구, 배드민턴, 조깅, 축구, 태권도, 스케이트 등 좋아하면 어떤 운동이든 좋습니다. 그러나 마른 아이들은 기초체력이 약한 만큼 아주 조금씩 운동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며, 절대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둘, 스트레스를 없애줍니다.
초등학교 3학년 여자아이의 키는 152.1cm가 평균이고 몸무게는 53.4kg입니다. 이렇게 볼 때 키는 적당하나 몸무게가 미달입니다.
마른 아이들은 공부나 과외 때문에 자꾸 스트레스를 받으며 심장과 위장의 기능이 점점 약해지고 흡수력이 떨어져 몸이 더 마르게 됩니다. 또 친구 관계가 선생님과의 관계, 학교성적과 그 밖의 걱정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너무 작은 키나 전체적 외모 때문에 고민하는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녀와의 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무슨 문제점이 있으면 부모가 즉시 개입하여 스트레스를 풀어줘야 합니다. 또한 마음을 늘 편안하게 갖도록 권유합니다. 매사에 낙천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해주고, 여유를 갖고 느긋하게 사는 지혜를 깨닫게 합니다. 때때로 아랫배로 깊이 심호흡하는 복식호흡은 마음을 편하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셋, 식이요법
마른 아이가 손발이 차고 설사, 변비가 있을 때는 따뜻한 식품과 소화하기 쉬운 음식을 주로 섭취하게 합니다. 따뜻한 성질의 식품은 어른의 경유 소음인에게 해당되는 음식들입니다.
배가 자주 아프고 토할 것 같고 어지러울 때,
- 홍시감과 맵쌀로 죽을 쑤어 간식으로 하루 두 번씩 먹입니다.
- 잘 익은 바나나를 하루 두 개 정도 먹습니다.
- 매실차를 매끼 식사 후 음료수 대용으로 마십니다.
- 구기자차를 자주 마시게 합니다.
넷, 먹으면 살찌는 한방약죽
마죽, 대추죽, 잣죽, 호두죽을 매일 먹게 합니다.
- 마죽은 산약 20g, 맵쌀 30g, 흑설탕 조금
- 대추죽은 큰 대추 15개 맵쌀, 흑설탕 조금
- 잣죽, 호두죽은 잣이나 호두 20g, 맵쌀 40g, 꿀 조금
다섯, 한약처방
보중익기탕이나 소건중탕 그리고 녹용을 함께 처방하여 복용시킵니다.
영동한의원 김남선 원장